본문 바로가기
728x90

금융위원회7

[금융위원회]2020년 새해부터 달라지는 금융제도 2020년 새해부터 달라지는 금융제도 1. 생산적 금융으로 경제상황 돌파를 적극 뒷받침하겠습니다.① (예대율) 기업대출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을 위하여 은행의 예대율 산정시 대출유형별로 가중치가 조정됩니다. (1월 1일)② (투자촉진) 중소·중견기업의 시설투자 촉진을 위해 총 4.5조원 규모의 금융지원 프로그램이 신설됩니다. (1분기)③ (동산담보대출) 동산담보 회수를 지원하여 동산금융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회수지원기구가 신설됩니다. (상반기)④ (크라우드 펀딩) 코넥스 상장기업도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자금조달이 허용됩니다. (상반기)⑤ (코넥스 상장비용 지원) 미래 성장성이 있는 신규 상장기업의 상장비용(50% 한도)이 지원됩니다. (1월)⑥ (신주가격 결정) 코넥스 상장기업의 유상증자시 신주가격 산정의 .. 2020. 1. 1.
서민형 안심전환대출 출시, 더 나은 보금자리론 [ 서민형 안심전환대출 출시 ]□ 변동금리나 준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을 보유한 주택실수요자에 대해 대환용 ‘서민형 안심전환대출’ 신규공급ㅇ (대상대출) 출시방향 공개(`19.7.23일) 이전에 취급된 변동금리 또는 준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은행, 저축은행 등을 포함한 전 금융권에서 취급된 주담대로서, 정책모기지 및 만기까지 완전히 금리가 고정된 대출은 제외ㅇ (소득·주택보유수) 부부합산소득 8,500만원* 이하인 1주택자* 신혼부부, 2자녀 이상 가구는 부부합산 1억원 적용- 대환 실행 후 보유주택수를 정기적으로 재확인하여, 보유주택수 증가 시 1년 내 처분토록 하고 미이행시 기한이익 상실ㅇ (주택가격) 시가 9억원 이하ㅇ (대출한도) 기존대출 범위내 최대 5억원 한도- LTV 70%, DTI 60%를 적.. 2019. 8. 28.
금융위원회 - ‘18년 하반기 대부업 실태조사 결과 출처 : 금융위원회http://www.fsc.go.kr/info/ntc_news_view.jsp?bbsid=BBS0030&page=1&sch1=&sword=&r_url=&menu=7210100&no=33224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 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 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 연구소에서 발간하는 모든 자료는 위 저작권을 따릅니다. * 상업적으로는 이용하지 말아주세요! * 인용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2019. 7. 2.
금융위원회 - 개인 및 자영업 연체 채무자의 재기지원 강화 방안 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http://www.fsc.go.kr/info/ntc_news_view.jsp?bbsid=BBS0030&page=1&sch1=&sword=&r_url=&menu=7210100&no=33145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 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 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 연구소에서 발간하는 모든 자료는 위 저작권을 따릅니다. * 상업적으로는 이용하지 말아주세요! * 인용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2019. 5. 24.
금융위원회 2019년 금융위원회 업무계획 출처 :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http://www.fsc.go.kr/info/ntc_news_view.jsp?bsid=BBS0030&page=1&sch1=&sword=&r_url=&menu=7210100&no=33002 2019. 3. 11.
[보도자료]금융위원회, 사회적금융 활성화 방안 [보도자료]금융위원회, 사회적금융 활성화 방안 -사회가치기금, 사회적금융중개기관 및 민간투자 활성화등 사회적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한 금융생태계 구축 추진◈정부는‘18.2.8일총리 주재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를 통해 「사회적금융 활성화 방안」을최종 확정하였음 *(관계부처) 국무조정실, 금융위원회, 기획재정부, 고용노동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⑴ (사회적금융시장 조성 지원)사회가치기금 조성지원,사회적금융중개기관육성 및민간투자자·금융기관의 참여 확대 추진 ⑵ (정부·공공부문의 사회적금융 공급 확대)정부·공공재원 중심으로 사회적경제기업 등에 대한자금지원 규모·채널 확대* *서민금융진흥원 사회적기업 신용대출(연 50~80억원), 중기·소상공인 정책자금(‘18년 400억원), 신보·지신보 특례보증(’18년.. 2018. 2. 12.
[금융위원회 - 2018년]청년 금융소비자 정책 󰊳 취약부문별 맞춤형 지원 강화 □ (청년‧대학생) 청년·대학생 금융지원 강화방안을 마련(’18.上)하여 생활·주거자금 부담을 경감하고, 군인 희망저축 등을 통해 재산형성 적극 지원 ㅇ 취업준비자금, 비주택(옥탑방·고시원 등) 주거자금 등 청년·대학생의 수요를 반영한 지원이 가능하도록 청년·대학생 소액금융 체계 개편* * 지원대상·한도를 확대하고, 재원부담을 경감하는 지원방식 도입 검토 ㅇ 장학재단 대출을 연체한 청년·대학생에 대한 채무조정 지원을 강화*하고 신용정보 관리를 개선하여 조속한 재기를 지원(교육부 협업) * (현행) 신복위 채무조정 신청시 협약금융회사의 추심은 중단되나, 장학재단은 예외 → (개선) 신복위에만 신청하더라도 장학재단도 연계하여 추심중단 및 채무조정 추진 ㅇ 향후 병사급여의 단계.. 2018. 1.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