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금융불평등2

청년과 금융불평등, 한영섭 소장, 우분투재단 토론회 청년청년과 금융불평등 한영섭 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 소장 청년의 부채문제, 불평등 문제는 한국사회에서 거론 된지 꾀 오래되었다. 최근 주택문제, 코로나 등 원인으로 더 심화되고 있다. 청년 금융문제를 이야기할 때 영끌(영혼까지-), 빚투(빚내서투자), 가상자산 투자 등 문제로 청년개인의 왜곡된 의사결정 문제로 인식하기도 한다. 그러나 청년계층의 금융문제의 본질은 청년개인의 잘못된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이 선택을 강제하는 사회구조의 원인에 있음을 분명히 하면서 토론에 들어가고자 한다. 1. 현황과 문제 1-1 청년부채 현황 통계청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의하면 2022년 말 가구주 평균 9,170만원의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4.2% 증가된 것인데, 29세 이하 청년.. 2023. 6. 7.
정책토론회, 한국의 금융 불평등, 청년과 금융불평등 한영섭 소장 □ 사무금융우분투재단(이사장 신필균, 이하 ‘우분투재단’)은 창립 4주년을 맞아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국회의원과 함께 6월 7일 오전 10시에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최근 우리 사회의 불평등문제에서 소득과 자산 불평등보다 더 심각하게 대두하고 있는 금융불평등의 실태를 분석하고 해결과제를 모색하고자 ‘한국의 금융불평등’ 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 오늘날 한국의 불평등은 세 차례 사회경제적 위기를 거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 1997년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그리고 2020년에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 위기가 그것이다. 최근 아파트 가격 폭등으로 인하여, 자산 불평등 문제가 크게 대두되면서 소득 불평등과 자산 불평등을 매개하는 금융이 경제불평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고 소득과 자산.. 2023. 6.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