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보이스피싱2

[브리핑]금융감독원, 17년 보이스피싱, 대포통장 현황 □‘17년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2,423억원으로 전년 대비 26.0%(499억원↑) 증가 - 가상통화를 피해금 인출수단으로 악용하는 등 신종 수법의 등장으로 대출빙자형 피해가 크게 증가(34.4%↑, 461억원↑)한데 기인 - ‘17년 하반기 들어 148억원이 가상통화로 악용 * 피해액 증가분(499억원)의 30%에 해당하며, 건당 피해금(1,137만원)이 전체 보이스피싱 건당 피해금(485만원) 대비 2.3배에 달함 □반면, 대포통장 발생 건수는 45,422건으로 은행권의 FDS 및 모니터링 강화 등에 힘입어 전년 대비 2.6% 감소(1,204건↓)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 2018. 2. 6.
[내지갑정보] :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10계명, 금융감독원 본 자료는 금융감독원 금융꿀팀 10계명을 참조하였음.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10계명’ 피해사례 : ● (정부기관 사칭형) 사기범은 검찰 수사관을 사칭, 검거한 범인이 피해자의 계좌를 대포통장으로 이용하고 있어 계좌 안전조치가 필요하니 금감원에서 관리하는 계좌로 자금을 이체하면 안전하다고 기망하면서 사기범이 확보한 대포통장으로 이체를 유도 ● (대출빙자형①) 사기범은 oo캐피탈을 사칭, 피해자의 신용등급이 낮지만 대출이 가능하다며 대출진행비 및 선납이자를 요구하였고 피해자가 송금하자 이를 편취한 후 잠적 ● (대출빙자형②) 사기범은 oo은행을 사칭, 저금리로 정부지원자금을 받게 해준다며 저금리 대출을 받기 위해서는 고금리 대출기록이 있어야 한다고 피해자를 기망하면서 대부업체에서 고금리 대출을 받도록 한 후.. 2017. 10. 3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