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살림살이5

강의계획서 - (특강) 불안한 당신을 위한 생활경제, 한영섭 (특강) 불안한 당신을 위한 생활경제 #자본주의 #재태크 #살림살이 #복잡계경제학 #지구인 강사 현 칼폴라니사회경제연구소 협동조합 이사장 현 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 소장 현 노동자서민부채상담소 소장 주요내용 1부 재테크 현상 : 그 많던 동학개미는 투자에 성공했을까 2부 그럼에도 돈 : 최소한의 사회적 돈 기술 3부 복잡계경제학 :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학 4부 기후재앙, 인간의 살림살이 경제를 넘어 상세내용 1부 재테크 현상 : 그 많던 동학개미는 투자에 성공했을까 - 동학개미와 투자현상 - '원숭이도 이해하는 자본론'이 재테크 책으로 각광 받는 이유는 - 재테크 현상과 이면 자본주의 사회에서 돈(자본)을 획득하는 기술 - 재태크는 승자독식사회, 각자도생사회의 가속화 2부 그럼에도 돈 : 최소.. 2023. 3. 9.
동향 리포트 <2019-4호 : 생활경제> - '여성·비정규직·청년'은 왜 또다시 대화를 거부했나 동향 리포트 [3월 13일] ◎ 글로벌 소비자들 "5년전보다 살림살이 나아졌다"...식료품 지출 비율 1위 ◎ 여름 폭염·겨울 한파… 지난해 살림살이 ‘팍팍’ ◎ '여성·비정규직·청년'은 왜 또다시 대화를 거부했나 ◎ 목돈마련의 꿈이 현실로···청년내일채움공제 ◎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나도 가능할까? 감면 대상과 환급방법·작성방법까지 자세히 살펴봐야 ◎ 글로벌 소비자들 "5년전보다 살림살이 나아졌다"...식료품 지출 비율 1위 · 전 세계 소비자들이 식료품에 가장 많은 지출을 하는 것으로 조사 · 글로벌 통합 정보 분석 기업 닐슨이 ‘글로벌 소비자의 개인 재정에 대한 인식과 지출에 관한 조사’를 진행하고 6일 이에 대한 분석을 발표 · 전 세계 소비자들은 5년 전 대비 개인 재정에 대해 낙관적으로 인.. 2019. 3. 13.
[내지갑영양제]돈이 부족할 때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대출편) [내지갑영양제]돈이 부족할 때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 (대출편) 목 차 1. 대출의 이해 가. 대출과 부채란 나. 대출의 종류 다. 대출용어 2. 신용의 이해 가. 신용과 신용등급 나. 신용등급 오해와 진실 다. 신용등급 관리 : 신용등급을 높이자! 3. 대출기관과 대출상품 3-1 대출기관 가. 대출기관 나. 대출기관별 대출금리 비교 3-2 목적별 대출상품 가. 학자금 대출 나. 주거관련 대출 다. 서민금융지원제도 라. 대출상품 정보 찾기 4. 대출 현명하게 받자 가. 정상적인 금융회사인지 확인하는 방법 나. 편리한 대출 VS 불편한 대출 다. 대출 받기 전 우선 고려사항 라. 대출금리선택 : 변동금리 VS 고정금리 마. 상환방식은 이떻게? 바. 대출 상환기간은 길게? 짦게? 5. 더 좋은 금융(신용).. 2018. 9. 1.
<출강-특강> 경기복지재단, 新부자수업, 한영섭소장, 10월 21일 新부자수업 (특강) - 좋은 삶을 위한 내지갑 7가지 법칙 교육일시 : 10월 21일 10:00 ~ 12:00 (2시간)의뢰기관 : 경기복지재단교육장소 : 의정부시 과학도서관교육대상 : 경기도 일하는 청년통장 참여자, 30명강 사 : 한영섭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내지갑연구소 소장 - 돈돈돈 한국사회 현상- IMF 이후 한국 사회경제 지표- 한국인의 돈에 대한 관념의 변화- 진짜 경제생활 관념, 살림살이 경제 정의- 살림살이 경제를 기반으로 부의 개념을 다시 정의, 4가지부- 돈을 관리하는 법, 내지갑플래너 활용법 생활경제교육, 재무설계, 안티제테크, 현명한소비, 금융호구탈출, 신용회복, 채무조정살림살이경제, 좋은 삶을 위한 4가지 부, 청년금융부채정책 교육문의 mywalletlab@gmail.com / 0.. 2017. 10. 23.
칼럼 :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시작하며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시작하며 한영섭 소장 이 글을 쓰고 있는 며칠 전 고시원에서 한 청년이 삶을 마감했다. 무엇이 이 청년의 삶을 포기하도록 만들었을까? 살아가다 보면 누구나 위기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이럴 때 최소한 돈 때문에 삶을 포기하는 일은 없어야 하지 않을까? 한 고위공무원이 뇌물을 받은 것이 사실로 들어나 파면에 이르렀다. 그 돈 액수가 3,000만 원 자신의 연봉보다 적은 돈을 받고 직을 내려놓다니. 참 어처구니없는 선택이다. 왜 이렇게 인간은 돈에 휘둘릴까? 돈 많아도 걱정, 없어도 걱정이다. 필자가 돈에 대해 공부하고 현장에서 일한 지도 10년이 되어 간다. 가난했던 어린 시절을 굳이 꺼내지 않더라도 돈은 삶에 있어 중요한 관심 분야다. 모 대기업에 일할 때도 상대적으.. 2016. 1. 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