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과거 정보/돌보는 금융경제 연구소 213

신용 인플레....이런 기사는 뭐꼬?

신용 인플레라는 말은 처음들었다... 우리나라 개인 신용등급 문제 있다. 자료를 수집해서 한방에 까야겠다...... ... 기사는 금융회사의 관점을 대변하고 있다. 금융소비자 입장에서는 신용등급 높으면 그냥 좋은 거다...대출을 제대로 해준다는 것은....더 다양한 고민이 필요한 지점이다.금융관련 회사, 기관들 개조가 필요하다. =================================================== 국민 4명 중 1명이 1등급…'신용 인플레' 우려영문 뉴스 음성지원 서비스 듣기본문듣기 설정A12면1단| 기사입력 2017-02-07 18:52 기사원문 18

이렇게 하면 망한다. - [돈이보인다] 새내기 직장인 재테크 어떻게 할까 (기사)

새내기 직장인 재테크 기사처럼 하면 망한다. 전형적인 재테크 기사... 1. 목표 세우기- 종잣돈 목표는 3000만원부터다.-> 목표는 중요하다 그런데 돈이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된다. 삶이 어느 순간 오로지 돈만 쫓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럴 때는 본질적인 질문을 던저야한다. 왜 저축하지? 왜 돈을 벌지? 왜 돈을 쓰지? 삶의 방향성 부터 수립하는 것이 진짜 목표 수립하기다. 무찌마 저축만큼 삶에 위험한 것이 없다. 2. 덜 쓰기-> 집에서 독립 3~5년 미뤄라.-> 월급 40~50% 저축습관 들이기둘다 오류투성이다.첫째, 독립하지 말고 부모님 등골브레이크가 되란 말이냐? 그리고 지출을 줄이라고?인생 길다. 돈 쓰면서 살아가야 한다. 돈을 잘 쓰는 연습을 새내기 직장인들 하지 않으면 평생 돈 잘 못쓸..

동전 없는 사회의 장/단점 : KB지식 비타민 2016-85호

[Summary] KB 지식 비타민 2016-85호  한국은행은 동전 사용에 대한 불편을 해소 하기 위해 동전 없는 사회 구축 가능성을 점검하고 금융기관·IT 업체들과 공동으로 시행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발표  지갑이나 주머니가 무거워지거나 동전을 잃어 버리는 등의 불편을 줄이고, 국가 입장에서는 동전을 만드는데 필요한 제조 비용을 상당 부분 절약할 수 있음• 거스름 돈을 카드에 충전 또는 계좌에 입금해주는 방식으로 동전 사용을 최소화  국내에서는 ‘동전 없는 사회(Coinless Society)’에 대한 논의가 시작단계이나, 해외에서는더 나아가 ‘현금 없는 사회(Cashless Society)’로 전환을 시도  현금 없는 사회의 장점은 투명성, 효율성, 안전성, 간편성 등에 있음• 비현금 거..

기사 - 한국 ‘동전 없는 사회’ 오나? 2016년 1월

한국 ‘동전 없는 사회’ 오나? 2016년 1월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725935.html#csidxb9fd69fe8b4b7ad8f372dd99feca060 한은, 2020년까지 도입 검토 거스름 동전은 카드에 입금한국은행이 시중에서 동전 사용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한은은 12일 내놓은 ‘중장기 지급결제업무 추진 전략’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한은은 올해부터 선진국의 ‘현금없는 사회’(cashless society) 모델을 연구해 우리나라에서 ‘동전없는 사회’(coinless society)의 도입 가능성을 점검하기로 했다. 박이락 한은 금융결제국장은 “소액결제망을 통한 동전 없는 사회에 대한 연구를..

기사 - 한국은행이 추진하는 '동전 없는 사회' 시범사업

동전없는 사회 - 시범사업추진.거래가 점점 눈에 보이지 않는 세상이 펼처지고 있다.순기능과 역기능을 잘 살펴야 하지 않을까. 연구는 제대로 이루어 졌는지 자료를 찾아봐야겠다.... ============================================================================================== 한국은행이 추진하는 '동전 없는 사회' 시범사업 입찰에 편의점과 선불카드사 등 총 6곳의 사업자가 참여했다. 2일 금융·유통업계에 따르면 편의점업계에선 씨유(CU)가 유일하게 이번 사업 입찰에 응했다. 선불카드업계에선 한국스마트카드, 캐시비, 한페이, DGB유페이, 레일플러스 등 5곳이 입찰했다. 한은은 편의점과 선불카드업체 각각 1곳을 선정해 상반기 중 1차..

기사 - 이창호 더불어사는사람들 대표, 착한대출로 어려운 이웃에 희망

은행의 진짜 모습을 찾아서! - 더불어사는사람들 사단법인 http://www.mfk.or.kr/ =========================================================================http://hankookilbo.com/m/v/444c34f988b646cb805a3915245bc85b 한국일보 기사 돈 빌려 달라는 사람 얼굴을 직접 보지도 않는다. 그런데 대출은 1인당 최대 100만원까지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해 준다. 그것도 3無(무이자ㆍ무담보·무보증)가 원칙이란다. 금융복지를 표방하는 소액대출단체‘㈔더불어사는사람들’ 이야기다. “돈이 많네” “곧 망하겠네” 등 주변의 우려와 의심 속에 시작한 더불어사는사람들이 이달로 첫 대출을 시작한 지 5주년을 맞았..

2010년 중위소득 - 1100만원 (개인소득자)

김낙년 교수 ‘개인소득 분포’ 논문 발표 4000만원 넘으면 상위 15%에 속해 상위 1%의 소득 비중은 12.97% 정부 가계동향 조사와 큰 차이 김 교수 “중산층 과대추산돼 있어” 김낙년 동국대 교수(경제학)가 12일 한국경제사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할 ‘한국의 개인소득 분포: 소득세 자료에 의한 접근’ 논문은 우리나라의 중산층에 대한 일반인은 물론 정부의 인식에 큰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김 교수는 논문에서 2010년 한 해 동안 회사에 취업해 받은 근로소득과 이자나 배당을 통한 금융소득, 사업을 해서 벌은 사업소득 등을 합한 개인소득자의 중위소득을 1074만원으로 제시했다. 전체 개인소득자 3121만9454명을 소득이 적은 순서로 일렬로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한 사람의 연간 소득이 1100만원이 채..

40억원 대학생 빚 탕감한 ‘월가를 점령하라’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지난 2011년 대형은행의 탐욕을 비판하며 미국 금융 중심지 뉴욕 월스트리트에 등장한 시위운동 ‘월가를 점령하라’가 40억원에 달하는 거액의 학생 빚을 탕감해온 사실이 알려졌다. 이에 따라 대학생 2700명이 빚 부담에서 벗어나게 됐다. 17일(현지시간) CNN머니에 따르면 ‘월가를 점령하라’는 시위 3주년을 맞은 이날 380만달러(약 39억3300만원)에 이르는 대학생들의 채무를 청산했다고 밝혔다. ‘월가를 점령하라’는 과도한 빚에 허덕이는 시민들을 구제하기 위해 2012년 기부금으로 운용되는 펀드 ‘롤링 주빌리 펀드’를 세우고 대신 빚을 청산해오고 있다. 금융기관으로부터 시민의 부실채권을 헐값에 매입해 이를 소각하는 방식이다. 그동안 의료ㆍ주거 빚 청산에 집중해온 ‘월가를 ..

월가점거운동 ‘빚파업’ 프로젝트, 개인채무 150억원 청산

월가점거운동 ‘빚파업’ 프로젝트, 개인채무 150억원 청산기부금 4억2천만원으로 150억원 부채 구입 뒤 청산 월가점거운동 활동가들이 “99%를 옭아매는 빚에 억눌린 이들”의 부채 약 150억원을 구매, 이를 청산했다. 12일 에 따르면, 월가점거운동(OWS)으로 시작된 프로젝트 조직 “빚파업(Strike Debt)” 활동가들이 오는 15일 결성 1년을 앞두고 그동안 기부로 모은 40만 달러(약 4억2천만원)로 개인 채무 1,500만 달러(약 150억원) 채권을 유통시장에서 구매, 이를 청산했다고 밝혔다. 빚파업 모임이 3번에 걸쳐 최저로 떨어진 가격으로 구매한 채무는 미국 45개 주에서 2,693명이 진 빚이다. ‘롤링주빌리(Rolling Jubilee)’ 프로젝트라는 이름의 이 운동은 빚 탕감 운동이..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