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국민연금2 칼럼, ‘노후 삶 보장 위원회’를 제안하며, 한영섭 ‘노후 삶 보장 위원회’를 제안하며- 소득보장(돈)만으로는 노후의 삶을 보장할 수 없다한영섭 연금으로 얼마를 받아야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할 수 있을까?‘100만원? 150만원? 200만원?’연령과 성별, 처한 경제적 여건, 필요한 욕구 수준에 따라 모두 다르게 대답할 것이다. 연금 금액의 산정은 통상 소득대체율로 이야기를 한다. 소득대체율은 일하던 시기의 평균 소득의 일정 수준을 말하는데 현재 한국의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은 39%이다. 250만 원 소득인 사람은 국민연금으로 약 100만 원의 소득을 보장하겠다는 말이다. 65세가 이후 노후 삶에 100만 원이면 괜찮은 수준인가? 아니면 턱없이 부족한가?2018년 한국사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이슈 중 하나인 국민연금에 대해 말이 많다. 국민연금은 지금 같은.. 2018. 11. 28. 내지갑공부 - 소득대체율(income replacement) 소득 대체율income replacement 목차펼치기 국민연금에 가입한 사람이 가입 기간 중 받은 평균 소득을 기준으로 퇴직 후에 받는 연금지급액 수준을 말한다. 소득 대체율은 월 연금 수령액을 연금 가입 기간의 월 평균 소득으로 나눠 구한다.각주1) 1988년 국민연금 도입 당시 가입 기간 40년 기준으로 70퍼센트였던 소득 대체율은 1998년 60퍼센트로 떨어졌다. 이후 노무현 정부 때인 2007년 국민연금 기금 고갈을 우려한 여야가 법을 개정해 2008년엔 50퍼센트로 10퍼센트 낮추고, 2009년부터 2028년까지 20년 동안은 매년 0.5퍼센트씩 낮춰 40퍼센트로 하기로 했다. 이때 국민연금 지급 개시 연령도 기존 60세에서 2013년부터 5년 단위로 1세씩 올려 2033년에는 65세가 되도록.. 2018. 11. 28.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