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탄소부채3 김현우, 서평, 크레디토크라시, 부채거부운동 심각하게 부채 거부를 선동하다[서평] 「크레디토크라시」(앤드루 로스/ 갈무리)By 김현우/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상임연구원 2016년 06월 11일 09:01 오전 ‘부채의 지배체제’ 또는 더 넓게 보아 부채를 중심으로 유지되는 사회 시스템이나 양식을 의미하는 ‘크레디토크라시’는 낮선 용어지만, 부채라는 프리즘으로 이 세상의 비밀을 드러내기 위해 선택된 개념이기도 하다.지배체제(-cracy) 앞에 자주 붙었던 관료(bureau-), 독재(auto-), 또는 민주(demo-) 만큼이나 부채(credit-)가 그렇게 중요한 정치 및 사회의 규정 원리가 되었다는 것인데, 앤드루 로스가 보여주는 사례와 해석들을 보면 부채 사회라는 규정은 결코 과장이 아니다.이 책 1장의 제목처럼, 우리는 모두 ‘회전결제자’다. .. 2020. 1. 22. 기사스크랩 - 탄소부채, 탄소배출권 http://marketinsight.hankyung.com/apps.free/free.news.view?aid=201412171527u&category=IB_FREE 2020. 1. 22. 스크랩-기사, 탄소부채, 내년부터 기업이 내뿜은 탄소도 부채가 됩니다회계기준원, 탄소배출권 거래제 관련 회계처리 기준 마련 포스코, 현대제철, 쌍용양회 등 탄소 배출 상위 기업엔 '부담'등록 2014-12-02 오전 11:00:03수정 2014-12-02 오후 7:53:52가가김도년 기자페이스북트위터메일프린트스크랩url복사[이데일리 김도년 기자] 내년부터는 기업이 내뿜는 탄소 중 할당된 배출권을 초과하는 양만큼 부채도 늘어날 전망이다. 탄소배출량이 특히 많은 철강, 시멘트, 정유회사 등이 탄소감축에 나서지 않으면 재무부담은 더욱 커질 수도 있다. 한국회계기준원은 2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교토의정서 이행 사항인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관련, 회계처리 기준이 마련됐다고 밝혔다. 마련된 기준은 금융위원회 보고를 거쳐 내년 1월1.. 2020. 1. 22.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