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학자금대출17

내지갑연구소, 한영섭 외, 한국 학자금부채 현황분석 보고서(2019년) 다운로드 책임연구원 : 한영섭보조연구원 : 조윤현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 연구소에서 발간하는 모든 자료는 위 저작권을 따릅니다.* 상업적으로는 이용하지 말아주세요!* 인용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2019. 7. 24.
800만원 빌려 천만원 상환, 학자금대출 갚기 벅찬 사회초년생 장기미상환 금액만 1000억원한국장학재단 '든든학자금대출' 2010년엔 5.7% 금리로 대출.. 현재 이자율 2.2%의 두배 넘어정부 홍보 믿고 대학생때 신청..이자놀이 이용됐다 생각에 분통재단 "당시 시중금리보다 낮고 변동금리 적용해 저금리 반영"#. 3년 전 한 중소기업에 취업한 사회초년생 서모씨(29)는 대학생이던 2010년과 2011년에 각각 한 학기씩, 총 두 학기 등록금을 한국장학재단에서 빌렸다. '취업후 등록금 상환제(ICL·든든학자금대출)'를 통해 서씨가 빌린 원금은 총 793만원. 하지만 서씨가 갚은 금액은 1000만원이 넘었다. 그동안 붙은 이자가 총 212만원에 달했기 때문이다. 서씨가 2010년 학자금 대출을 신청했을 당시 한국장학재단의 연금리는 5.7%에 달했다. 2011년은 조금.. 2019. 6. 13.
동향 리포트 <2019-43호 : 행복지수> - 놀지 못하는 한국 아이들‥'아동 행복지수' OECD 최저 수준 동향 리포트 [5월 24일] ◎ 윤석헌 "금융이 4차 산업혁명 도약 위해선 인재 양성 필수" ◎ 놀지 못하는 한국 아이들‥'아동 행복지수' OECD 최저 수준 ◎ 윤석헌 "금융이 4차 산업혁명 도약 위해선 인재 양성 필수"· 윤석헌 금융감독원장은 22일 "금융이 4차 산업혁명의 격랑 속에서 도약의 기회를 찾기 위해서는 혁신기술 개발 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할 인재 양성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윤 원장은 이날 서울대학교에서 열린 'A.I.가 여는 미래금융의 세계' 캠퍼스에 특강에 참석, 인사말을 통해 이같이 강조했다.· 윤 원장은 "금융은 혁신적인 기술의 역동적인 융합으로 인해 상품과 서비스, 금융회사와 감독기구의 일하는 방식, 이에 따라 우리의 금융생활까지 근본적으로 바뀌는 변혁의 시기에 있다"고 설.. 2019. 5. 24.
동향 리포트 <2019-41호 : 청년정책/제도> - '청년기본법'만큼은 여야 한 마음…"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 동향 리포트 [5월 22일] ◎ 서울시, 청년 상식으로 미래 디자인…10개팀에 총 5억원 지원◎ '청년기본법'만큼은 여야 한 마음…"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 “◯◯청년사업이요? 이미 없앴어요!” ◎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2천300만 돌파…'청년우대형'도 19만명◎ 청년내일채움공제 만기금, 난 이렇게 활용했다 ◎ 서울시, 청년 상식으로 미래 디자인…10개팀에 총 5억원 지원· 서울시가 10대 미래 미래대응과제를 바탕으로 청년 스스로 청년세대의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는 2019년 세대균형 프로젝트 ‘청년의 상식으로 미래사회를 디자인하다’의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 · 세대균형 프로젝트는 청년세대의 과소대표성을 완화하고, 미래지향적 의제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형성 및 문제해결에 대한 새로운 모.. 2019. 5. 22.
동향 리포트 <2019-40호 : 대출> - “학자금 대출 다 갚아줄게” 이런 부자 한국엔 없나요 동향 리포트 [5월 21일] ◎ “학자금 대출 다 갚아줄게” 이런 부자 한국엔 없나요 ◎ 금융사기, 불법금융 먹잇감 된 청년들◎ '40% 확정수익' '원금보장'… 유사수신업체 미끼에 속지마세요◎ '1만8250%' 살인적 금리로 미성년자 등친 불법 대부업자들 덜미◎ 대부업대출정보 '오픈API'로 금융권 공유…“취약차주 보호 미흡” ◎ “학자금 대출 다 갚아줄게” 이런 부자 한국엔 없나요· “여기 있는 졸업생 여러분의 모든 학자금 대출을 대신 갚아드리겠습니다.”· 19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 있는 모어하우스 칼리지 졸업식장. 단상에서 축사를 이어가던 장년의 남성이 깜짝 선언을 했다. 땡볕 아래에서 무심하게 축사를 듣던 학생들의 표정은 순식간에 바뀌었다.· “저 사람이 지금 뭐라고 말한 거야?”.. 2019. 5. 21.
[피어나는 경제]학자금 부채를 탕감하자!, 한영섭 학자금부채를 탕감하자- 도시재생보다 더 급한 것은 청년의 학자금 부채 탕감이다. 한영섭 빚쟁이유니온 위원장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센터장 미국 대선 주자 중 한명인 민주당의 ‘엘리자베스 워런(매사추세츠)’ 상원의원이 지난 4월 21일 학자금 부채 관련 공약을 제시했다. 연소득 10만 달러 아래인 가구에 소속된 모든 이들의 학자금 부채액에서 5만 달러를 감면해준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 공약에 의하면 약 75% 이상이 혜택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워런은 학자금 부채 탕감 공약뿐만 아니라 교육격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2년제와 4년제 무료 공립대학 신설안도 제시되고 있다. 이를 위해 5000만 달러 이상의 재산을 가진 가구의 2%의 부유세를 부과하자고 주장하고 있다.학자금 부채 탕감과 관련한 .. 2019. 5. 6.
미니연구 -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대출 현황 (2018년 8월)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신규대출은 줄고, 누적잔액 지속적으로 늘어나.. 내지갑 연구소 한영섭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대출 현황 분석- 매년 신규 대출금액은 2018년 8월 기준 1조6천억 원 수준으로 2010년 대비 줄고 있음.- 신규 대출이 줄어든 이유는 장학금 지원이 늘어난 것에 대한 효과로 볼 수 있음.- 누적 대출 잔액은 2018년 8월 기준 10조9000억원으로 늘어나고 있음.- 대출잔액의 증가 추세는 멈추웠지만. 신규 대출이 줄어든 만듬 대출잔액이 줄어들고 있지는 않음. ---------------- 추정 : 대출상환 지연의 원인은 취업 후 상환 대출로 인한 상환지연이 원인임잠재된 상황불능인가? 단순 상환지연인지는 살펴보아야함.청년실업률과 삶의 비용이 지속적으로 높아진다면 학자금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2018. 11. 22.
[미니연구]대학(원) 생 등록금 보다 생활비 목적 대출을 더 많이 받는다. 대학(원)생 등록금 보다 생활비 목적 대출을 더 많이 받는다. 한영섭 내지갑연구소장 1. 현황과 분석 내지갑연구소가 한국장학재단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얻은 학자금 대출 현황을 분석했다. 대학(원)생이 받는 학자금대출 등록금 목적 대출과 생활비 목적 대출 중 2017년 이후 등록금 대출 보다 생활비 목적 대출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8월 현재 등록금 목적 대출 인원은 388,614명으로 생활비 목적 대출 387,657명 보다 957명 정도 많지만 이 추세로 보면 생활비 목적 대출 인원이 더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출규모를 보면 2010년 등록금 대출은 약 2조5천억 원 규모에서 2017년 1조 2천억 원 규모로 절반이상 줄어든 반면, 생활비 목적 대출은 약 3,178억 원에서 .. 2018. 11. 18.
[연구보고서 - PPT]청년부채 현실과 원인 그리고 해소방안(2018년 3월) 청년부채 현실과 원인 그리고 해소방안 (2018년 3월) 세부적인 사항은 자료를 다운받으시기 바랍니다. * 언론보도 등 자료사용 시 '한영섭, 내지갑연구소'로 출처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2018. 3. 8.
[한영섭소장 코멘트]학자금 대출, 이자 왜 있지?...시민단체 "이자 없애야", 이코노믹리뷰 학자금 대출, 이자 왜 있지?...시민단체 "이자 없애야"세금으로 자금 조성하면 이자 필요없어...취업후 상환 대출금 적용 가능양인정 기자 | lawyang@econovill.com | 승인 2018.01.03 18:03:02 ▲ 한국장학재단 전경, 출처=뉴시스 한국장학재단이 올해 1월부터 청년 대학생들의 학자금 대출 이자율을 기존 2.25%에서 2.20%로 0.05%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지난 2016년 7669명 발생했던 `취업후 상환 학자금` 장기 미상환자가 작년에는 6개월만에 3만2천여명으로 급증한 현실과는 동떨어진 대책이라는 지적이다.전문가들은 나아가 학자금 대출에 왜 이자를 붙여야하는지 근본적인 의문을 던지고 있다. 학자금 대출제도가 시행될 때부터 시민단체는 "무이자 대출로 바꿔야.. 2018. 1. 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