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과거 정보/행동경제 넛지랩 3

왜 다이어트 시작하면 꼭 야식이 당길까?

새해 다짐으로 다이어트 시작하는 순간, 왜 평소에 안 당기던 치킨, 피자가 미치도록 당길까요? 이 심리는 당신의 의지가 약해서가 아닙니다.심리학 용어로 심리적 반발 효과(Psychological Reactance) 때문입니다. 뇌는 '나는 다이어트 때문에 이것을 먹으면 안 된다'는 통제를 받으면, 그 통제에 반항하며 오히려 더 강한 욕구를 만들어냅니다.무리하게 식단을 제한할수록 뇌는 자유를 침해당했다고 느껴 폭식으로 보상하려 합니다. 결국 다이어트 목표는 실패하고 죄책감만 남게 되죠.이제부터 극단적인 통제 대신 딱 한 가지만 실행하세요오늘부터 걷기"스스로에게 통제권을 줘야만 욕구의 폭발을 막고 목표를 지킬 수 있습니다. 다음 화에서 만나요!

'무료 배송' 받으려다 X되는 사람들의 비밀

'무료 배송' 받으려고 필요 없는 물건을 더 사는 당신! 사실 당신은 합리적인 척하다가 가장 비합리적인 결정을 내리고 있습니다 '무료'라는 단어는 뇌를 마비시킵니다. 행동경제학의 공짜의 매력(Zero Price Effect)에 빠져 배송비 3천 원을 아끼기 위해 1만 원짜리 물건을 추가로 구매하는 어리석은 실수를 하죠 당신은 배송비라는 손실을 회피하려다가 더 큰 금액을 지출하는 손실 회피(Loss Aversion)의 덫에 걸린 겁니다 뇌는 이성적인 비용 계산을 포기합니다 이제 딱 한 가지만 질문하세요 "이 추가 비용을 아껴서 정말 부자될 수 있을까?" 다음 화에서 만나요!

선택지가 10개 넘으면 '이것' 때문에 아무것도 못 삽니다. #선택장애 #결정장애 #선택의과부하 #행동심리학 #소비심리 #잼실험 #재테크팁

쇼핑몰에서 옷을 고를 때 메뉴판에서 음식을 고를 때 선택지가 너무 많아지면 결국 아무것도 못 고르는 경험 해보셨죠? 이건 당신의 결정 장애가 아닙니다뇌가 선택의 과부하(Choice Overload)에 걸린 겁니다너무 많은 정보가 들어오면 뇌는 에너지를 아끼려 판단 자체를 포기합니다 심리학자 쉬나 아이엔가(Sheena Iyengar)의 '잼 실험'처럼 선택지가 늘어날수록 구매율은 오히려 급감합니다'더 좋은 게 있을 텐데' 하는 후회 회피(Regret Avoidance) 심리가 결정을 막는 거죠. 이제 딱 한 가지만 기억하세요.'선택지는 적을수록 좋다.'다음 화에서 만나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