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록]한영섭, 청년부채 현실과 대안, 내지갑연구소, 2018년 7월 강의용 버전
[강의록]한영섭, 청년부채 현실과 대안, 내지갑연구소, 2018년 7월 강의용 버전 1강 왜 우리는 빚더미에 살아야 하나?2강 청년부채 해소 방안 찾기 -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 연구소에서 발간하는 모든 자료는 위 저작권을 따릅니다.
2018. 7. 10.
한영섭, 내담자 중심주의 생활경제상담 분석진단처방 방법론, 내지갑연구소, 2018년
내지갑상담사 보수교육, 2018년 5월 ‘내담자 중심주의’ 생활경제상담 분석·진단·처방 방법론 한영섭 (내지갑연구소장) 0. 들어가기 기존 상담에서 분석과 진단, 처방이 상담사 별로 차이가 발생하여 상담의 내용이 다른 경우가 발생. (상담 기준 통합) 분석과 진단, 처방시 중심적인 기준이 불투명하여 상담사가 힘있게 상담할 수 없고, 상담사의 역량에 의존하게 만드는 한계. (상담 질적 보완)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담의 분석, 진단, 처방의 기준을 세우고, 어떤 상담사가 상담을 하더라도 가치와 철학을 일치하게 만들고,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함. 1. ‘내담자 중심주의’ 생활경제상담 : 상담의 중심축 세우기 우리가 상담을 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내담자의 통장에 잔고를 늘려주는 일인가? 좋은 금융상품을..
2018. 5. 29.
[토론문]제1회 행복정책포럼, 지방자치와 행복정책, 내지갑연구소장, 한영섭2018년 5월
제1회 행복정책포럼, 지방자치와 행복정책, 2018.5.23, 국민총행복전환포럼 토론회 전체 자료집 다운로드 【토론문】‘청년’세대론 관점으로 살펴본 지방자치와 행복정책- 한영섭, 내지갑연구소장, 국민총행복전환포럼 운영위원 ○ 행복전환포럼 발제를 잘 들었습니다.- 이지훈, 지방정부의 행복정책 추진 실태와 과제- 변미리, 서울시 행복지향 정책 전환 제안- 홍미영, 행복실감도시 부평구의 실험 0. 들어가기 앞서 개회사와 환영사에서도 말씀하신 것처럼, 행복전환포럼은 기존의 개발, 양적 경제성장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의 페러다임을 행복중심, 삶의 질로 전환하자는 취지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의식을 전면적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우리가 익숙하게 생각했던 것을 낯설게, 다르게 보아야 진정한..
2018. 5.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