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663

[강의록]한영섭, 청년부채 현실과 대안, 내지갑연구소, 2018년 7월 강의용 버전 [강의록]한영섭, 청년부채 현실과 대안, 내지갑연구소, 2018년 7월 강의용 버전 1강 왜 우리는 빚더미에 살아야 하나?2강 청년부채 해소 방안 찾기 -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 연구소에서 발간하는 모든 자료는 위 저작권을 따릅니다. 2018. 7. 10.
[강의]한영섭, 소점포 재무관리법, 2018년6월 [강의]한영섭, 소점포 재무관리법, 2018년6월 2018. 6. 23.
[강의]한영섭, 청(소)년 금융피해예방교육, 2018년 6월 버전 청(소)년 금융피해예방교육_2018년 6월 버전강의안 다운로드(클릭) 2018. 6. 23.
[정책]한영섭, 지방선거대응, 서울시, 청년 생활금융 & 부채 공약 제안, 2018년6월 -> 정책 세부내용 다운로드 (클릭) 2018. 6. 6.
한영섭, 가계소득 진단, 이의 있습니다. 2018년 5월 가계소득 진단, 이의 있습니다.문제를 잘 해결하려면 진단을 잘 해야 한다. 진단이 잘 못되면 모든 것을 그르칠 수 있다.최근 문재인대통령을 주제로 한 가계소득 대책 회의에서 금번 하위 20% 소득 감소되어 특단(?)의 대책을 수립한다고 했다. 그러나 주로 다루고 있는 계층이 노년층을 이야기했다. 맞다 노년층의 소득빈곤 현상은 심각하다. 그러나 문제는 그것으로 그치지 않는다. 통계로 명확히 분석되지 않았지만. 청년층의 소득문제도 심각하다. 통계청의 공포된 자료만 살펴보면 2인 가구이상, 연령별 소득지표를 분석했더니 (5년 통계) 2013년 1/4분기 대비 2018년 1/4분기전체 소득이 13.61% 증가 2~30대 17.70% 증가 40대 13.57% 증가 50대 23.82%% 증가 60대이상 17.31%.. 2018. 5. 30.
<출강안내>생활경제 호구탈출, 경기도사회복지협의회, 5월 29일, 한영섭 연구소장 생활경제 호구탈출, 경기도사회복지협의회, 5월 29일, 한영섭 연구소장 생활경제 호구탈출 - 사회복지사을 위한 생활경제 ABCD 강사 : 내지갑연구소 한영섭소장 교육일시 : 2018년 5월 29일 의뢰기관 : 경기도사회복지협의회 교육대상 : 사회복지사 법정의무 교육 ​​​ 2018. 5. 29.
한영섭, 내담자 중심주의 생활경제상담 분석진단처방 방법론, 내지갑연구소, 2018년 내지갑상담사 보수교육, 2018년 5월 ‘내담자 중심주의’ 생활경제상담 분석·진단·처방 방법론 한영섭 (내지갑연구소장) 0. 들어가기 기존 상담에서 분석과 진단, 처방이 상담사 별로 차이가 발생하여 상담의 내용이 다른 경우가 발생. (상담 기준 통합) 분석과 진단, 처방시 중심적인 기준이 불투명하여 상담사가 힘있게 상담할 수 없고, 상담사의 역량에 의존하게 만드는 한계. (상담 질적 보완)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담의 분석, 진단, 처방의 기준을 세우고, 어떤 상담사가 상담을 하더라도 가치와 철학을 일치하게 만들고,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함. 1. ‘내담자 중심주의’ 생활경제상담 : 상담의 중심축 세우기 우리가 상담을 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내담자의 통장에 잔고를 늘려주는 일인가? 좋은 금융상품을.. 2018. 5. 29.
[토론문]제1회 행복정책포럼, 지방자치와 행복정책, 내지갑연구소장, 한영섭2018년 5월 제1회 행복정책포럼, 지방자치와 행복정책, 2018.5.23, 국민총행복전환포럼 토론회 전체 자료집 다운로드 【토론문】‘청년’세대론 관점으로 살펴본 지방자치와 행복정책- 한영섭, 내지갑연구소장, 국민총행복전환포럼 운영위원 ○ 행복전환포럼 발제를 잘 들었습니다.- 이지훈, 지방정부의 행복정책 추진 실태와 과제- 변미리, 서울시 행복지향 정책 전환 제안- 홍미영, 행복실감도시 부평구의 실험 0. 들어가기 앞서 개회사와 환영사에서도 말씀하신 것처럼, 행복전환포럼은 기존의 개발, 양적 경제성장을 중심으로 하는 사회의 페러다임을 행복중심, 삶의 질로 전환하자는 취지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의식을 전면적으로 바꾸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우리가 익숙하게 생각했던 것을 낯설게, 다르게 보아야 진정한.. 2018. 5. 24.
엄마는 딸의 인생을 지배한다. 사이코 다마키 지음, 김재원 옮김, 꿈꾼문고 (역자후기) 엄마는 딸의 인생을 지배한다.- 사이코 다마키 지음, 김재원 옮김, 꿈꾼문고 역자후기 (2017년 10월 30일 김재원) 일본에서는 2000년대 후반부터 ‘모녀관계’로 고통받는 딸들이 주요 화두로 떠오르기 시작했다. 엄마와 딸의 관계는 수 많은 이름으로 분류되고 정의되었다. 독모, 묘지기 딸, 상자 속 딸, 일란성 모녀... 숨죽여 고통받던 딸들이 호소가 속속 수면 위로 부상했고, 서점가에는 이른바 ‘착한 딸’에서 벗어나기 위한 지침서들이 쏟아져 나왔다. 이 책은 모녀관계가 문제가 본격적으로 공론의 장에 나오기 전인 2008년에 출간된 것으로, 저자 사이토 다마키는 정신과 전문의이자 비평가이다. 은둔형 외톨이 문제를 전문으로 하는 저자는 임상 현장에서 수많은 엄마와 딸의 갈등을 목격하면서 오로지 모녀관계.. 2018. 5. 21.
나는 엄마가 힘들다, 사이토 다마키외 지음, 전경아 옮김, 책세상 (머리말) 나는 엄마가 힘들다- 사이토 다마키외, 전경아 옮김, 책세상 머리말제가 임상 현장에서 자주 통감하는 것이 모녀 관계의 특수성입니다.그것도 패턴이 일정하지 않습니다. 아주 억압적인 엄마 아래서 고통받는 딸이 있는가 하면 엄마와 지나치게 밀착된 나머지 벗어나고 싶어도 벗어나지 못해 갈등하는 딸도 있습니다. 겉으로는 얼핏 사이가 좋아 보여도 부지불식간에 수면 아래의 썩은 부분이 드러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부자 관계도 크게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만, ‘문제의 양상’은 훨씬 단순합니다. 저는 이러한 모녀 관계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라는 책을 썼습니다. 물론 부모자식 관계에는 부자 관계도 있고 부녀 관계도 있고 모자 관계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모녀 관계는 유독 이질적입니다. 최근에야 겨우 이루한 이질.. 2018. 5.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