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663 [내지갑정보]스토리의 힘, 스토리 편향 (가짜뉴스 판별하기) [내지갑정보]스토리의 힘, 스토리 편향 이야기에는 육하원칙이 필요하지 않는다. 그럴듯하면 그걸로 족하고 설득력은 말하는 이의 권위와 말솜씨에 좌우된다. 굳이 옛날 이야기를 생각할 필요는 없다. 그저 사람들 사이에 떠도는 이야기를 생각해보라.사람들은 어떤 이야기를 들으면 '그거 말 되는데'라거나 '말도 안 돼'라는 말을 즐겨한다. 진실은 때로 얼른 듣기엔 말도 안 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런 진실은 이야기로서 생명력이 약하다. 이처럼 이야기가 진실보다 큰 힘을 발휘하는 현상을 가리켜 '이야기 편향(story bias)'이라고 한다. (205p) - 강준만의 '감정독재' 중에서(인물과사상) 의 저자인 컬럼비아 경영대학원의 마이클 모부신 교수는 “이야기에 열광하는 사람은 실패한다.”고 말한다. 가짜뉴스가 판을.. 2018. 11. 23. 한국은행은 「2018년 3/4분기중 가계신용(잠정)」을 11.21.(수) 발표 한국은행은 「2018년 3/4분기중 가계신용(잠정)」을 11.21.(수) 발표하였다. - 2018년 3/4분기말 가계신용은 1,514.4조원으로 전분기말(1,492.4조원) 대비 22.0조원 증가하였음. - 가계대출(1,427.7조원)은 전분기말 대비 18.5조원, 판매신용(86.7조원)은 3.6조원 각각 증가하였음. 2018년 3/4분기중 가계신용 2018. 11. 22. 미니연구 - 한국 고등교육 학자금 대출 잔액은 15조 2천 억원 미니연구 한국 고등교육 학자금 대출 잔액은 약 15조 2천억원 한국의 학자금 대출 현황 분석-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대출 - 공무원연금 학자금 대여- 사학연금 학자금 대여- 군인연금 학자금 대여- 기타 일반기업 사원 복지 (미 취합, 데이터 없음) 2018년 8월 기준 총 2조 2천억 신규대츨 2018년 8월 기준 누적잔액 약 15조 2천 억원 2018. 11. 22. 미니연구 -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대출 현황 (2018년 8월)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신규대출은 줄고, 누적잔액 지속적으로 늘어나.. 내지갑 연구소 한영섭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대출 현황 분석- 매년 신규 대출금액은 2018년 8월 기준 1조6천억 원 수준으로 2010년 대비 줄고 있음.- 신규 대출이 줄어든 이유는 장학금 지원이 늘어난 것에 대한 효과로 볼 수 있음.- 누적 대출 잔액은 2018년 8월 기준 10조9000억원으로 늘어나고 있음.- 대출잔액의 증가 추세는 멈추웠지만. 신규 대출이 줄어든 만듬 대출잔액이 줄어들고 있지는 않음. ---------------- 추정 : 대출상환 지연의 원인은 취업 후 상환 대출로 인한 상환지연이 원인임잠재된 상황불능인가? 단순 상환지연인지는 살펴보아야함.청년실업률과 삶의 비용이 지속적으로 높아진다면 학자금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2018. 11. 22. [미니연구]대학(원) 생 등록금 보다 생활비 목적 대출을 더 많이 받는다. 대학(원)생 등록금 보다 생활비 목적 대출을 더 많이 받는다. 한영섭 내지갑연구소장 1. 현황과 분석 내지갑연구소가 한국장학재단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얻은 학자금 대출 현황을 분석했다. 대학(원)생이 받는 학자금대출 등록금 목적 대출과 생활비 목적 대출 중 2017년 이후 등록금 대출 보다 생활비 목적 대출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8월 현재 등록금 목적 대출 인원은 388,614명으로 생활비 목적 대출 387,657명 보다 957명 정도 많지만 이 추세로 보면 생활비 목적 대출 인원이 더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출규모를 보면 2010년 등록금 대출은 약 2조5천억 원 규모에서 2017년 1조 2천억 원 규모로 절반이상 줄어든 반면, 생활비 목적 대출은 약 3,178억 원에서 .. 2018. 11. 18. 빚 59조 짊어진 청년은 실신세대 … 100만원 꾸려다 5000만원 수렁에 청년들은 3포·5포·7포를 넘어 이젠 ‘1포 세대’로 수렴된다고 자조한다. 포기해야 하는 한 가지는 ‘이번 생’이다. 그들은 스스로를 ‘실신(실업+신용불량)세대’라 부른다. ‘청년 실업, 청년 빈곤, 청년 빚’에 발목 잡힌 그들의 현실을 빚댄 말이다. 특히 청년 빚은 가장 시급한 문제다. 청년 빚 59조원. 청년 5명 중 한 명은 대출 경험이 있고, 파산과 회생을 신청하는 청년들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청년 빚은 몇몇 청년의 개인 문제를 넘어선 사회구조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젠 청년 빚을 사회 문제로 보고 사회가 함께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말이다. 청년을 빚쟁이로 내모는 이 시대를 탐구한다. [탐구 1] 청년들 어떻게 빚쟁이 되나 생활비·학자금 쪼들려 급전 찾아 휴대폰 여러 대 개통 ‘내구제 대출’.. 2018. 11. 18. "시민단체, 불법그융 피해 신고 외면하고 책임 떠넘기는 정부에 대책마련 촉구" “시민단체, 불법금융 피해 신고 외면하고 책임 떠넘기는 정부에 대책마련 촉구” 시민단체들이 불법금융 피해 신고를 외면하고, 책임을 방기하는 정부에 강력한 단속과 피해자 구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청년빚문제해결을위한네트워크(이하 ‘청빚넷’) 등은 16일 서울시 동작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작업대출, 내구제 대출의 무분별한 광고를 단속하고, 비정상대출 피해 발생시 통합지원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며 이같이 촉구했다. 이들은 "최근 청년들에게 발생하는 불법금융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며 "당장 10만 원, 20만 원이 필요한 청년들은 ‘누구나 쉽고 빠른 대출’, ‘대출 서류 만들어드리겠습니다’와 같은 문구에 쉽게 넘어가고, 이런 불법대출로 인해 파산에 이르기도 하며 사회에 첫발을 내딛기도 전에.. 2018. 11. 18. 청년독립 - '내가 경함한 독립 이야기' 청년독립생활자 ‘내가 경험한 독립 이야기’ : 독립의 연결되는 것이다 내지갑연구소 소장 한영섭 피터 (2018년 10월) 우리나라에서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생활경제 교육과 상담을 하는 유일한 곳인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사회적협동조합 (예비)사회적기업을 만들고 운영했었습니다. 센터는 서울과 광주에 본사와 지부가 있습니다. 지금은 대구에서도 지부를 만들기 위해 활동하고 있습니다. 청지트를 통해서 연간 1000명이상의 청년이 교육이나 상담을 듣고 있습니다. 저는 센터를 전국에 최초로 만들고 운영을 하다가 올 초 이사장임기가 끝이나 부설로 내지갑연구소를 만들어 1인 독립연구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청년 빚 문제 해결을 위한 네크워크 집행위원장으로도 활동을 하고 있는데요 이 네트워크는 청년의 빚 문제.. 2018. 11. 5. 토막 경제 - GDP (국민총생산)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은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1)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으로 여기에는 비거주자가 제공한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에 의하여 창출된 것도 포함되어 있다. GDP는 당해연도 및 기준년도 중 어느 해의 시장가격을 이용하여 생산액을 평가하느냐에 따라 명목 및 실질GDP로 구분된다. 명목GDP는 생산액을 당해년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것으로 물가상승분이 반영된 것이고 실질GDP는 생산량에 기준년도의 시장가격을 곱해서 계산하므로 가격 변동은 제거되고 생산량 변동만을 반영하게 된다. 이와 같이 GDP를 명목과 실질로 구분하여 추계하는 것은 각각의 용도가 다르기 때문이.. 2018. 11. 4. 토막 상식 - 자영업자 자영업자 Self-ownership 정의 근로자를 1인 이상 고용하고 있거나 근로자를 고용하지 않고 자기 혼자 또는 1인 이상 파트너와 함께 사업하는 사람을 말한다. 해설 법인사업체의 대표자는 자영업자가 아니다. http://naver.me/G359Gwgx 추가 연구 우리나라 자영엽자 규모 매출, 폐업율 등 10년 간 자산 - 부채 매출 - 비용 - 소득 - 영업이익 2018. 11. 4.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67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