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내지갑연구소78

<출강> 청소년금융피해 예방 교육, 한영섭소장, 1월 19일 청소년금융피해 예방 교육, 한영섭소장, 1월 19일 교육일시 : 2018년 1월 19일 20:00 ~ 21:00 (1시간) 의뢰기관 : 관악 청소년 단체 교육장소 : 관악사회복지 청소년 휴 카페 '고래' 교육대상 : 관악 청소년 20명 강 사 : 한영섭 내지갑연구소장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2018. 1. 22.
메모 : 돈 잘 쓰는 법의 단상. 메모 : 돈 잘 쓰는 법의 단상... sbs 다큐 소비관련 자문을 하고 있는데...돈 잘 쓰는 법을 물어왔다. 일단 돈이 있어야 돈을 쓴다.많은 청년들은 돈이 없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을 만큼 돈이 많지 않다. (절대적 소득빈곤과 상대적 소득빈공이 공존)잘 쓰기 위해선 소득을 늘려주라. 그렇다고 흥청망청 소비할 수는 없는 일. 돈 잘 쓰고 싶다라는 말은 저축도 하고 소비도 적당히 하고 살고 싶은데 방법이 있느냐는 말. 없다.지금 청년들 저축 못한다.저축 많이 못하는데.. 박탈감만 클 뿐이다.그러면서 스트레스만 높아지고,씨발비용만 늘어나고, 작은사치에 만족한다.또는 비트코인 같은 재테크 투기 상품에 에너지를 쏟는다. 짠돌이든, 욜로든 둘다 동일하게 미래가 불안하다.불안을 해소 하는 방법이 다를 뿐.문제는.. 2018. 1. 12.
[청년정책제안]청년내일채움공제Ⅱ <청년이룸통장> 이렇게 제안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Ⅱ 이렇게 제안합니다. 작성자 : 내지갑연구소장 한영섭 2018년 1월 9일 제안배경 및 취지안녕하세요. 저는 서울을 중심으로 청년들의 부채문제와 신용, 금융문제를 해소를 위해 생활경제상담과 교육, 연구 활동을 하고 있는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사회적협동조합(노용노동부 지정 예비사회적기업) 내지갑연구소장입니다. 우선 정부에서도 청년들을 위한 정책을 고민하고 시행하는 것에 대해 매우 기쁘고 반갑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더 발전하는 정부가 되길 바라며 몇가지 제안사항을 말씀드립니다.2013년 서울시에 청년들을 위한 자산형성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이야기를 했고, 2015년 정책이 실행되었습니다. 처음에 시행될 때 여러 가지 우려도 있었고, 걱정도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그간 서울시와 민간의 도움으로 좋은.. 2018. 1. 9.
[연구보고서]한영섭, 수원시 청년 생활금융 문제 해소방안 연구, 수원시, 2017년 [청년부채 연구보고서]한영섭, 수원시 청년 생활금융 문제 해소방안 연구, 수원시, 2017년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2018. 1. 8.
[연구보고서]한영섭, 이행기청년 금융지원 모형 개발 연구,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2017년 [연구]한영섭, 이행기청년 금융지원 모형 개발 연구,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2017년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2018. 1. 6.
[연구보고서]한영섭, 청년층 부채악성화 경로추적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서울시 청년허브, 2015년 [연구보고서]한영섭, 청년층 부채악성화 경로추적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서울시 청년허브, 2015년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2018. 1. 6.
[연구보고서]한영섭, 청년금융복지상담 모형 개발 및 적용과 효과, 2014, 서울연구원 [연구보고서]한영섭, 청년금융복지상담 모형 개발 및 적용과 효과, 2014, 서울연구원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2018. 1. 6.
내지갑연구소 블로그 결산 : 청춘의 지갑을 이야기합니다. 한 소장 님이 내지갑연구소에서청춘의 지갑을 이야기합니다. --->2017년 연구소 블로그 결산보러가기 http://www.tistory.com/thankyou/2017/tistory/1759585 2018. 1. 6.
[한영섭소장 코멘트]학자금 대출, 이자 왜 있지?...시민단체 "이자 없애야", 이코노믹리뷰 학자금 대출, 이자 왜 있지?...시민단체 "이자 없애야"세금으로 자금 조성하면 이자 필요없어...취업후 상환 대출금 적용 가능양인정 기자 | lawyang@econovill.com | 승인 2018.01.03 18:03:02 ▲ 한국장학재단 전경, 출처=뉴시스 한국장학재단이 올해 1월부터 청년 대학생들의 학자금 대출 이자율을 기존 2.25%에서 2.20%로 0.05%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지난 2016년 7669명 발생했던 `취업후 상환 학자금` 장기 미상환자가 작년에는 6개월만에 3만2천여명으로 급증한 현실과는 동떨어진 대책이라는 지적이다.전문가들은 나아가 학자금 대출에 왜 이자를 붙여야하는지 근본적인 의문을 던지고 있다. 학자금 대출제도가 시행될 때부터 시민단체는 "무이자 대출로 바꿔야.. 2018. 1. 3.
[정책제안]청년1번가, 청년부채 경감을 위한 ‘청년생활금융지원센터’ 설립 내지갑연구소장 - 청년1번가 정책제안 청년 1 번가는 정부가 청년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만든 소통체널입니다 청년부채 경감을 위한 ‘청년생활금융지원센터’ 설립 한** | 2017년 12월 29일 |0. 배경 : 청년은 생활 필수재(교육, 주거, 생계)를 부채로 충당하고 있음.1. 현상 : 청년 생활부채 증가와 악성화.2. 원인 : 경제적 불평등 발생 (저소득, 저신용, 고비용으로 구조적 생활경제 격차)3. 문제 : 경제적 불평등 구조화 -> 생활경제 격차발생 -> 심리적 무력감 -> 생활경제 역량이 떨어짐 -> 경제격차 가속화* 악순환 구조 발생 (채무‘늪’)4. 단기 해소방안 (1) : 청년생활금융지원센터– 역할 1 : 청년층 특화 생활경제금융 상담&교육– 역할 2 : 청년층 유연한 적정대출 (청년형 마.. 2018. 1.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