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한영섭 150

[한영섭소장 코멘트]학자금 대출, 이자 왜 있지?...시민단체 "이자 없애야", 이코노믹리뷰

학자금 대출, 이자 왜 있지?...시민단체 "이자 없애야"세금으로 자금 조성하면 이자 필요없어...취업후 상환 대출금 적용 가능양인정 기자 | lawyang@econovill.com | 승인 2018.01.03 18:03:02 ▲ 한국장학재단 전경, 출처=뉴시스 한국장학재단이 올해 1월부터 청년 대학생들의 학자금 대출 이자율을 기존 2.25%에서 2.20%로 0.05%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지난 2016년 7669명 발생했던 `취업후 상환 학자금` 장기 미상환자가 작년에는 6개월만에 3만2천여명으로 급증한 현실과는 동떨어진 대책이라는 지적이다.전문가들은 나아가 학자금 대출에 왜 이자를 붙여야하는지 근본적인 의문을 던지고 있다. 학자금 대출제도가 시행될 때부터 시민단체는 "무이자 대출로 바꿔야..

공지사항/활동 2018.01.03

[정책제안]청년1번가, 청년부채 경감을 위한 ‘청년생활금융지원센터’ 설립

내지갑연구소장 - 청년1번가 정책제안 청년 1 번가는 정부가 청년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만든 소통체널입니다 청년부채 경감을 위한 ‘청년생활금융지원센터’ 설립 한** | 2017년 12월 29일 |0. 배경 : 청년은 생활 필수재(교육, 주거, 생계)를 부채로 충당하고 있음.1. 현상 : 청년 생활부채 증가와 악성화.2. 원인 : 경제적 불평등 발생 (저소득, 저신용, 고비용으로 구조적 생활경제 격차)3. 문제 : 경제적 불평등 구조화 -> 생활경제 격차발생 -> 심리적 무력감 -> 생활경제 역량이 떨어짐 -> 경제격차 가속화* 악순환 구조 발생 (채무‘늪’)4. 단기 해소방안 (1) : 청년생활금융지원센터– 역할 1 : 청년층 특화 생활경제금융 상담&교육– 역할 2 : 청년층 유연한 적정대출 (청년형 마..

연구소장 한영섭

소장 : 한 영 섭 (피터)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 철학을 단단히 만들어 가도록 하겠습니다. *호시우보(虎視牛步) 우보천리(牛步千里)의 마음가짐으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주요이력현 모두를 위한 경제돌봄 (구 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 )소장현 노동공제연합 (사)풀빵 노동공제학습원 부원장현 칼폴라니사회경제연구소 협동조합 이사 주요활동현 남양주기후예산감시센터 이사, 사무국장현 전환자치조례디자인그룹 공동대표현 경기북부노동공제회 이사, 교육위원장현 전태일기념관 전태일 노동인권 교육 활동가  현 사단법인 국민총행복전환 포럼 운영위원현 언론노조 미디어노동공제회 외부 전문위원현 인사랑케어 사회적협동조합 감사 과거이력전 한살림서울 식생활 교육 활동가전 내가 만드는 복지국가 정책위원전 노동공제연합 사단법인 풀빵 공제..

강의, 컨설팅, 연구 등 의뢰

소장 한영섭 전화번호 010 - 2670 - 3431 운영시간 10:00 ~ 18:00 블로그 http://economics21c.tistory.com E-Mail youngsuphan21c@gmail.com 주요사항 청년정책, 가계부채, 청년부채, 살림살이경제, 서민금융, 기후금융, 녹색금융, 대안금융 등 제도, 정책 연구 연구이력 - 한영섭, 청년금융복지상담 모형 개발 및 적용과 효과, 2014년, 서울연구원작은연구 - 한영섭 공저, 청년정책의 재구성 제안 기획연구 (생활안전망 분야), 2015년, 서울특별시 - 한영섭, 청년층 부채악성화 경로추적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2016년, 서울시 청년허브 - 한영섭, 이행기청년 금융지원 모형 개발 연구, 2017년,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 한영섭, 수원..

한영섭 소개 2018.01.01

[한영섭조장 인터뷰] 매일경제, 한영섭 소장, "청년들의 돈 문제, 사회가 함께 고민해야"

"청년들의 돈 문제, 사회가 함께 고민해야"7세때 부친잃고 가세 기울자 돈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 금융교육에 소외된 청년들 파산·회생 상담하며 지원…"사람중심 금융교육 필요" 박윤예 기자입력 : 2017.12.31 17:47:41 수정 : 2017.12.31 17:48:07 ■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한영섭 센터장 "7세 때 아버지가 돌아가신 이후 돈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했습니다. 돈이라는 게 개인 문제라기보다 사회문제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청년들의 현명한 경제 생활을 돕기 위해 설립된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청지트)의 한영섭 센터장은 돈에 대해 할 말이 많다. 어릴 때부터 돈에 자유롭지 못했던 데다 청지트에서 청년들을 상대로 금융 상담을 하면서 돈에 얽힌 무수한 사연을 접했기 때문이다. 청지트는 청년연대은행..

공지사항/활동 2018.01.01

[한영섭소장 코멘트] [청년층에 무슨일이]청년가구 부채 3년새 60% '급증'…빚더미 올라

[청년층에 무슨일이]청년가구 부채 3년새 60% '급증'…빚더미 올라 심상찮은 청년부채 증가세…은행권 밀려 제2·3금융권으로 적은 소득 탓에 이자 한 번 밀리면 '빚 굴레' 빠질 우려 커 정부, 내년 초 청년 금융지원 강화 방안 마련 예정 【서울=뉴시스】조현아 기자 = 청년가구의 빚 증가세가 심상치않다. 불과 3년 전만 하더라도 가구당 1500만원 수준이던 빚이 지난해 2400만원 선까지 크게 불어났다. 사회 첫 발을 제대로 떼기도 전에 빚더미에 신음하는 청년들이 늘어난 것이다. 31일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2014년 이래 '30세 미만' 청년 가구주의 평균 부채는 904만원(61%)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구의 부채는 2014년 1481만원..

공지사항/활동 2017.12.31

[한영섭소장 코멘트] [청년층에 무슨일이]청년들 왜 고달프나?…소득 적은데, 주거비 '허덕'

[청년층에 무슨일이]청년들 왜 고달프나?…소득 적은데, 주거비 '허덕' 청년 부채 3년새 61% 늘었는데 소득은 3.8% 감소 청년 실업률은 '사상 최고'…주거비 부담에 '등골' 월세 내고, 교통비에 식비 빼면 저축할 돈도 없어 【서울=뉴시스】조현아 기자 = 서울의 한 대학을 다니는 A(26)씨는 지방에서 올라와 학교 근처에 방을 얻었다. 매달 55만원씩 월세를 내야 하는데 부모님에게 전부 손을 벌리기 어려운 상황이라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지만 생활비 충당이 빠듯하다. 한 달에 5~6만원씩 나오는 핸드폰 요금도 연체하기 일쑤다. A씨는 "내년부터 본격적인 취업 준비를 하게 되면 나갈 돈이 더 많을 텐데 정말 빚이라도 내야 하나 생각 중"이라고 토로했다. 대학 졸업 후 프리랜서로 디자인 일을 하며 취업을 준..

공지사항/활동 2017.12.31

[한영섭의 에코세대 경제학]묻지마 재테크 권하는 사회에서 살아남기

[한영섭의 에코세대 경제학]* 한영섭의 에코세대 경제학은 이코노믹리뷰(언론사) 전문가 칼럼에 기고되고 있습니다. 묻지마 재테크 권하는 사회에서 살아남기한영섭 소장(mywalletlab@gmail.com) 청년들의 ‘호주머니 돈’이 가상화폐, P2P투자로 쏠리고 있다는 기사들이 도배되고 있다. 누가 투자를 고민 하고 있을까? 정말 돈이 없는 청년들은 이것조차 하지 못하는 박탈감에 빠져 있을 것이고, 조금이라도 불리려고 판에 뛰어든 청년들은 어떻게 해야 하나 밤잠 설치고 있을 것이다.우리 사회가 청년에게 권하는 것이 있다. ‘재테크’ 당장 TV, 라디오를 봐라 하루에 재테크 이야기를 안 하는 프로그램을 볼 수 없다. 우리는 왜 재테크를 권하는 사회가 되었나. 그리고 이를 적극 수용하는 청년들은 어떻게 탄생되..

금융문해정보 2017.12.31

<출강> 내지갑 워크샵, 한영섭소장, 11월 29일

내지갑 워크샵, 한영섭소장, 11월 29일 교육일시 : 11월 29일 15:30 ~ 17:30 (2시간) 의뢰기관 : 서울광진지역자활센터 교육장소 : 광진주민연대 교육대상 : 자활센터 참여주민 강 사 : 한영섭센터장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내지갑연구소 소장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공지사항/일정 2017.11.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