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희망두배청년통장2

[정책제안]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개선(안) □ 개선배경 ◦ 청년효능감이 높은 청년정책으로 보다 더 청년들의 상황과 현실에 맞는 조건으로 진화 필요함. ◦ 청년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정책을 설계가 필요함. ◦ 연속성 있고 장기사업으로 전환을 하고, 온라인 접수 시스템등 행정혁신 필요함.□ 정책근거 ◦『서울시 청년기본조례』제14조, 제15조 ◦『서울시 사회적 가족도시 구현을 위한 1인 가구 지원 기본조례』제10조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2018. 1. 26.
[한영섭소장 인터뷰]"청년들 기다려줄 수 있는, 사람 중심 정책 필요" "청년들 기다려줄 수 있는, 사람 중심 정책 필요"[청년단체가 바꾼다②] 한영섭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장 인터뷰15.07.05 16:31l최종 업데이트 15.07.05 16:31l편영은(seoulyouth2014)크게l작게l인쇄lURL줄이기스크랩397좋은기사 원고료주기공감4 댓글1청년이란 누구인가? 청년의 정의는 참 애매하다. 법적으로는 만 19세에서 만 34세 사이의 사람들을 청년이라고 정의한다. 이 연령층에 속하는 대학생이나, 장기 구직자, 저소득층 근로자 등이 일반적으로 청년정책이 가정하는 청년의 영역에 속한다. 하지만 정책대상으로서 청년을 정의할 때, 이들을 독립적인 주체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들이 이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부모의 경제적 도움이 필요하므로 통상적으로 부모와 묶.. 2017. 10. 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