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청년부채66

언론사 인터뷰, 한영섭소장, 빚투·영끌은 곁다리? 청년들 ‘빚의 늪’ 빠진 진짜 이유 몇일 전에 인터뷰한 내용이 언급이 되었네요. 지표로 보면 청년의 경제적 상황이 더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특히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청년의 생활이 불안합니다. 부채는 이중적입니다. 소득과 재산, 노동환경이 안정적인 계층에게는 대출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계층은 문제가 다릅니다. 금융과잉과 금융소외 문제 생활을 위한 대출은 줄이고 사회보장을 늘리는 기조를 계속 진전켜야 합니다. 단기적으로 대출은 삶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사회 비용이 계속 높아지는 결과를 만듭니다. =================== 일요신문, 빚투·영끌은 곁다리? 청년들 ‘빚의 늪’ 빠진 진짜 이유 온라인 기사 2023.07.24 08:00 생활유지 위한 보증금대출이 가장 큰 원인…양질의 일자리 제공.. 2023. 7. 26.
정책토론회, 한국의 금융 불평등, 청년과 금융불평등 한영섭 소장 □ 사무금융우분투재단(이사장 신필균, 이하 ‘우분투재단’)은 창립 4주년을 맞아 더불어민주당 박용진 국회의원과 함께 6월 7일 오전 10시에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최근 우리 사회의 불평등문제에서 소득과 자산 불평등보다 더 심각하게 대두하고 있는 금융불평등의 실태를 분석하고 해결과제를 모색하고자 ‘한국의 금융불평등’ 토론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 오늘날 한국의 불평등은 세 차례 사회경제적 위기를 거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 1997년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그리고 2020년에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 위기가 그것이다. 최근 아파트 가격 폭등으로 인하여, 자산 불평등 문제가 크게 대두되면서 소득 불평등과 자산 불평등을 매개하는 금융이 경제불평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고 소득과 자산.. 2023. 6. 6.
한겨레, 저당잡힌 미래 ‘청년의 빚’ 한겨레 기획기사 담당했던 기자가 고민이 많았었는데. 몇 번의 통화, 한 차례 대면 인터뷰 기사화 되었네요. 연속기사입니다. 시간을 내서 읽어 보면 좋겠습니다. 저당잡힌 미래 ‘청년의 빚’ https://www.hani.co.kr/arti/SERIES/1770/ 200만원 벌어 절반 넘게 갚는데도…‘빚의 족쇄’ 찬 청년들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58337.html 가파르게 늘어나는 청년 빚, ‘도덕적 해이’ 탓하지만…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58332.html 학자금부터 전세자금까지…청년이 빚지게 만드는 사회 https://www.hani.co.kr/arti/s.. 2022. 9. 13.
새정부 1,826일 : 코로나 이후, 청년정책의 과제" <청년금융정책부문, 토론문, 한영섭>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새정부 1,826일 : 코로나 이후, 청년정책의 과제" 청년의 삶, 일상의 금융화를 넘어 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 소장 한영섭 1. 윤석열 당선자 공약 진단에 대한 추가 의견 2. 청년금융정책 발제(최유리 대표)에 대한 의견 3. 기조발제(이승윤 부위원장)에 대한 의견 4. 청년(금융,경제)정책을 위한 제언 1. 윤석열 당선자 금융 공약 분석 - 최유리 대표의 진단에 대체로 동의함 - 10년 만기로 1억 만들어 주겠다는 달콤한 유혹 - 정책 생산자가 청년의 현실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 - 청년정책이 아니라 아동발달계좌 등으로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전면 재검토 필요함. - 앞서 기조발제에서도 언급된 것처럼 청년의 자산격차에 대한 문제를 진지하고 집중적으로 고민해야 함. .. 2022. 4. 4.
한영섭「청년부채 - 채무노예 EXIT」 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 (2019년) 채무노예 EXIT 한영섭 소장, 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 1. 미래를 약탈당한 청년 현실이 영화를 압도하는 약탈금융 ‘작업대출’, ‘내구제’가 금융인가? 후불제 삶 2. 채무노예사회 금융은 악도 선도 아니다 청년부채의 탄생은 한국 불평등 심화와 정부정책 실패 금융회사의 도둑심보가 청년부채를 악화 시킨다 3. 채무노예 탈출기 청년, 대안금융을 만들다, 이제 진짜 금융기관을 만들자 청년생활금융상담센터를 만들자 청년부채경감특별법을 만들자 4. 빚밍아웃 하자! 빚투라는 이름의 폭력 채무자들의 반경을 시작하자 참고문헌 1. 미래를 약탈당한 청년 한국에서 청년이 이슈이죠. 대통령, 국회의원, 사회 할 것 없이 모두 청년을 말합니다. 한쪽에서는 인구감소, 저출생을 이야기하며 ‘출산주도성장(?!)’을 외치고 있고, 한.. 2021. 8. 21.
부자나라에 가난한 청년, 채무늪에 빠지다 본 글은 주간동아에 기고했던 편집 전 글입니다. 부자나라에 가난한 청년, 채무늪에 빠지다 한영섭, 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장 “휴대폰 가개통을 했어요. 처음엔 50만원 정도 빌릴려고 했는데, 4대를 개통했고, 지금은 400만원 정도 밀려서 신용불량자가 되었죠.” “누가 저희 같은 애들한테 돈을 빌려주나요. 제 친구도 돈 필요해서 알아보다가 계좌 빌려주고 보이스피싱인가 연류 되어서 벌금 300만원이 나왔는데 계속 못 내고 있어요.” 필자가 상담한 김청년(22·가명)씨의 이야기다. 김씨는 돈이 필요해 인터넷으로 대출을 알아보다 휴대폰만 있으면 대출을 해준다는 광고를 보고 휴대폰 1대를 가개통을 해서 50만원의 현찰을 구할 수 있었다. 그 돈으로 생계비를 쓰고, 다시 3대를 더해 총 4대를 가개통을 했고, 통.. 2021. 3. 2.
[한영섭 소장 인터뷰]"하루 한 끼로 버텨요"…20대 청년들이 추락한다 앵커 도저히 빚 갚을 형편이 안 되다보니 법원에 구제를 신청해 그 책임으로 부터 일단 벗어나는 절차가 개인 회생입니다. 올해 모든 연령대의 개인 회생 신청이 줄어든 반면 20대는 급증했습니다. 가뜩이나 어려운 취업, 코로나19 탓에 아르바이트 자리도 구하기 힘든 게 현실인데요. 이제 하루 한끼 먹는 것도 힘든 게 아니라는 요즘 청년들의 이야기를 서유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28살 신민준씨. 유명대학 디자인학과를 졸업하고 2년째 직장을 구하지 못해, 가끔씩 들어오는 아르바이트 작업으로 버티고 있습니다. (중략) 청년들은 보다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말합니다. [한영섭/내지갑연구소장] "(유예제도는) 문제를 모면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라고 볼 수 있죠. 청년세대들을 위한 별도의 금융기관을 만들거.. 2021. 2. 8.
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 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는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학을 바탕으로 더 좋은 사회를 위해 경제, 금융, 사회를 분석하고 대안을 만드는 연구소입니다. 연구분야 [정책연구실] 금융경제, 청년부채, 가계부채, 기후금융, 사회적금융, 경제불평등, 자산형성프로그램 등 사업분야 : 부설 센터 굿머니레터 뉴스레터 굿머니교육센터 : 생활경제금융 교육기관 기후금융센터 : 기후금융 연구 및 정책 대안, 기후상품(제도) 컨설팅 My CFO 재무관리센터 : 가계, 소기업의 재무관리 컨설팅 강의, 컨설팅, 자문 등 문의 youngsuphan21c@gmail.com / 010.2670.3431 연구소 이력 2021년 부설기관 기후금융센터, 굿머니교육센터, MyCFO재무컨설팅 설립준비 비영리단체 등록 2020년 세상을 바꾸는 금.. 2021. 2. 7.
정책제안 - 21대 총선, 청년금융분야 요구사항 2020. 1. 21.
명칭변경 : 내지갑연구소 - 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로 명칭 변경 공 지 사 항 기존 내지갑연구소는 '세상을 바꾸는 금융 연구소'로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2020년 1월 19일 연구소장 한영섭 #세바연 #한영섭 #청년부채 #가계부채 #서민금융 #금융정책 #금융제도#대안금융 #사회적금융 #그린금융 #녹색금융 #기후금융 2020. 1. 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