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674

노후는 자신이 살아온 성적표...단상

노후는 자신이 살아온 성적표라... 그런데 그 성적표가 경제적 부를 뜻하는 것이라면 천박한 발상이다. 행복한 노후는 돈도 필요하지만 돈이 중요한 가치가 아니다.... 평생 독립운동과 사회운동을 하며 일생을 살아온 분들은 노후엔 경제적 부가 없을 것이다. 그럼 그 경제성적표라는 것으로 이분들을 평가한다면...말이되지 않는소리다. 그럼 사회문제에 눈감고 돈벌이 만을 위해 열심히 살아온 기득권세력들은 경제적인 부가 넘처난다.. 이들의 경제성적표가 아무리 뛰어난들 이들을 존경할 수없다. 삶은 그리 단순하지 않다. 삶을 성적표 매기듯 매길수도 없는 노릇아닌가. 각자의 삶은 살아있는 것으로도 의미가 있다. 노후에 자신의 삶을 평가(?)할때 돈이라는 잣대로 자신을 평가하지 않았으면 한다. 진짜 삶은 돈으로 평가할 수..

과거 정보 2015.11.15

빚쟁이유니온(준) - 빚잔치 모임 <요리배틀(요리경연대회)과 빚잔치>

빚쟁이유니온(준) - 빚잔치 모임 일시 : 11월 10일 저녁 7시 장소 : 서울 대방동 무중력지대 나눔부엌 내용 : 요리배틀(요리경연대회) 거창하다..ㅋㅋ 우리끼리 밥먹는 거예요. 1) 요리경연대회 참가자 -> "나도 요리 좀 한다" 싶은 분은 다음 모임 참가자로 상시접수 받음. -> 접수는 댓글로. 2) 맛있게 먹어주실분 - 각자가 가져올 재료 올리시라. -> 예) 양파 2개, 계란 10알, 파 3줄기 등등 - 기타 사항은 댓글에서 확인 바람. 3) 빚잔치 - 자신의 부채이야기등 소소한 이야기 나누기 * 부채&돈&금융 꿀팁 마구마구 얻을 수 있음^^ (쫄지마 부채~~) 4) 뒷풀이 있음. - 다음 모임 후에 간단하게 술 한 잔 하기로 했음. 기타 : 참석자는 "꼭" 댓글 달아주세요. 변동시에도 꼭 댓..

과거 정보 2015.10.23

공지 - 빚쟁이유니온 발족 첫 준비모임

빚쟁이유니온 발족을 위한 준비모임 개최!!! 안녕하세요. 모임을 주선하게된 한영섭(피터)입니다. 다음주 10월 7일 저녁에 모여 빚쟁이유니온 첫 준비모임을 가지려 합니다.^^ 청년들의 부채문제 .. 어떻하면 좋을까요!! 첫 모임 주제는 없습니다. 그냥 모여서 수다 떨어봅시다. 일시 : 2015년 10월 7일 저녁 7시 장소 : 대방동 무중력지대 1호선 대방역 3번 출구 준비물 : 서로를 존중하는 마음 내용 : 빚쟁이유니온은 왜??? 시간 되시는 분들은 꼭 참여해주세요^^ 연락처 010 - 2670 - 3431 (피터) 참석 가능하신분은 댓글 또는 문자, 카톡 뭐든 환영합니다.^^ 함께해요!!

과거 정보 2015.10.04

인터뷰 - 미디어오늘, 청년부채문제

추석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십수일 전부터 대중교통은 ‘예매 전쟁’이라고 한다. 하지만 TV와 신문 지면에서 쏟아지는 이런 귀성길 소식이 낯선 이들이 있다. 청년이다. 매스컴에선 취업·연애·결혼 등이 어려운 청년층이 나홀로 추석을 보낸다고 하지만 일부에선 ‘빚’ 때문에 가족을 만나지 못하는 청년층이 존재한다. 한영섭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대표는 25일 미디어오늘과 통화에서 “한국의 사회 지표를 보면 청년의 고립감이 굉장히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며 “청년들이 부채 문제를 공포스럽게 받아들이긴 하지만 가까운 친구나 가족에게 터놓고 이야기하지 못하면서 점점 고립감이 심해지고 사회적 관계망도 끊어지는 길로 가게 된다”고 말했다. 한영섭 대표는 “한 상담자의 경우 아버지가 사업이 힘들어지면서 자녀 신용으로 금..

공지사항/활동 2015.10.04

2010년 중위소득 - 1100만원 (개인소득자)

김낙년 교수 ‘개인소득 분포’ 논문 발표 4000만원 넘으면 상위 15%에 속해 상위 1%의 소득 비중은 12.97% 정부 가계동향 조사와 큰 차이 김 교수 “중산층 과대추산돼 있어” 김낙년 동국대 교수(경제학)가 12일 한국경제사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할 ‘한국의 개인소득 분포: 소득세 자료에 의한 접근’ 논문은 우리나라의 중산층에 대한 일반인은 물론 정부의 인식에 큰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김 교수는 논문에서 2010년 한 해 동안 회사에 취업해 받은 근로소득과 이자나 배당을 통한 금융소득, 사업을 해서 벌은 사업소득 등을 합한 개인소득자의 중위소득을 1074만원으로 제시했다. 전체 개인소득자 3121만9454명을 소득이 적은 순서로 일렬로 세웠을 때 중간에 위치한 사람의 연간 소득이 1100만원이 채..

빚으로 지은집 - 가계부채는 왜 위험한가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습니다. 경제라는 것도 거미 처럼 연결이 되어 있지요. 내가 채무가 없다고 문제가 없다...그렇지 않습니다. 채무때문에 누군가 좋은 않은 상황이 발생한다면 그것은 경제 전체에 영향을 주게됩니다. 그렇기에 빚문제는 우리 모두의 문제입니다. 우리는 대한민국, 세계라는 배를 함께 타고 있습니다. 나 혼자 살길은 없지만, 모두 함께 살 방법은 있습니다. ================================================= 우리는 모두 한배를 타고 있다! 가계 부채의 급증은 소비 지출의 감소를 가져오고 불황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가진 것이 가장 적은 사람들에게 가장 큰 타격을 입힌다. 더욱이 가계 부채는 빚을 진 가계들의 자산에 타격을 입히는 데 그치지 않고, 경제 시스..

40억원 대학생 빚 탕감한 ‘월가를 점령하라’

[헤럴드경제=강승연 기자] 지난 2011년 대형은행의 탐욕을 비판하며 미국 금융 중심지 뉴욕 월스트리트에 등장한 시위운동 ‘월가를 점령하라’가 40억원에 달하는 거액의 학생 빚을 탕감해온 사실이 알려졌다. 이에 따라 대학생 2700명이 빚 부담에서 벗어나게 됐다. 17일(현지시간) CNN머니에 따르면 ‘월가를 점령하라’는 시위 3주년을 맞은 이날 380만달러(약 39억3300만원)에 이르는 대학생들의 채무를 청산했다고 밝혔다. ‘월가를 점령하라’는 과도한 빚에 허덕이는 시민들을 구제하기 위해 2012년 기부금으로 운용되는 펀드 ‘롤링 주빌리 펀드’를 세우고 대신 빚을 청산해오고 있다. 금융기관으로부터 시민의 부실채권을 헐값에 매입해 이를 소각하는 방식이다. 그동안 의료ㆍ주거 빚 청산에 집중해온 ‘월가를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