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과거 정보442

협동조합 7원칙 (ICA 협동조합 원칙 안내서) 협동조합이란? 공동으로 소유하고 민주적으로 운영하는 사업체를 통하여 공통의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자율적인 조직 - 국제협동조합연맹(ICA) 재화 또는 용역의 구매∙생산∙판매∙제공 등을 협동으로 영위함으로써 조합원의 권익을 향상하고 지역 사회에 공헌하고자 하는 사업조직 - 협동조합기본법 제2조(정의) 협동조합의 7대원칙 01 자발적이고 개방적인 조합원 제도 협동조합은 자발적인 조직으로서, 협동조합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조합원으로서 책임을 다할 의지가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성적∙사회적∙인종적∙정치적∙종교적 차별 없이 열려있다. 02 조합원에 의한 민주적 관리 협동조합은 조합원에 의해 관리되는 민주적인 조직으로서, 조합원들은 정책수립과 의사.. 2023. 12. 3.
남양주시 기후인지예산분석 시민 보고회 남양주시 기후인지예산분석 시민 보고회 2023년 남양주시 예산을 탄소중립, 기후정의 관점으로 분석을 했습니다. 이에 시민들께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일시 : 2023년 12월 11일 저녁 7시 장소 : 남양주 정약용 도서관 3층 세미나실 참가신청 : https://bit.ly/시민보고회 주관 : 남양주기후예산감시센터 (010.2670.3431) 2023. 11. 22.
한국은행은 2023년 3/4분기 가계신용(잠정)을 11.21.(화) 발표하였다. 한국은행은 2023년 3/4분기 가계신용(잠정)을 11.21.(화) 발표하였다. - ’23년 3/4분기말 가계신용 잔액은 1,875.6조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14.3조원 증가 - 가계대출은 1,759.1조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11.7조원 증가, 판매신용은 116.6조원으로 2.6조원 증가 - 예금은행과 기타금융기관 등은 전분기말 대비 각각 10.0조원, 6.5조원 증가한 반면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4.8조원 감소 - 2023년 3/4분기말 판매신용은 여신전문회사를 중심으로 전분기말 대비 2.6조원 증가 (-0.5조원 → +2.6조원) 2023년 3/4 분기 가계신용(잠정)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44979&cat=epic1&source=n.. 2023. 11. 22.
뱅크런(Bank run)과 예금자보호제도 뱅크런(영어: bank run)은 은행이 기업에 대출해 준 돈을 돌려받지 못한다거나, 주식 등의 투자 행위에서 손실을 입어 부실해지는 경우, 은행에 돈을 맡겨 두었던 예금주들이 한꺼번에 돈을 찾아가는 대규모 예금 인출 폭주 사태를 의미한다. 이 같은 현상의 원인은, 파산의 위험이 높은 부실 은행에게서 파산 후에 돈을 받지 못할 위험을 없애기 위해 자신의 돈을 확보하고자 하는 예금주들의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뱅크런은 고객들이 은행에 맡겼던 돈을 한꺼번에 되찾아 가기 때문에, 돈 없이는 운영이 불가능한 은행에게 있어 상당한 타격을 주는 현상이다. 이는 은행으로 하여금 돈을 빌렸던 기업 혹은 개인에게 상환을 촉구하는 효과도 가져와 기업과 개인에게도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또한 뱅크런은 사회 전체적으.. 2023. 10. 22.
지금 애덤 스미스를 다시 읽는다 올해가 애덤 스미스 탄생 300주년이다. 전세계적으로 가장 이상하게 해석되는 인물이 아닐까한다. 현대 경제학의 아버지 국부론으로 알려진 애덤 스미스 그가 더 일찍 저술한 도덕 감정론 한국에서 이 책들을 온전히 읽어낸 사람들이 얼마나 있을까 싶다. 올해 시간이 걸리 더라도 완독을 해보려고 하는데 그 길잡이가 될 책을 읽고 있다. 애덤 스미스가 진짜 말하고자 했던 이야기가 무엇인지,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흥미롭다. 사회적 존재인 개인을 어떻게 분석을 하고 있는지가 가장 중요한 기본 철학인듯하다. #애덤스미스 #국부론 #도덕감정론 #공평한관찰자 2023. 10. 4.
한국의 금융산업의 현실 단상. 우리나라 금융산업 금융위원회 누리집에 들어가면 자랑(?)스럽게 오픈되어 있는 지표. 금융자산 보유와 금융회사의 자산규모, 외국인 투자규모 나는 이런 지표를 보면 얼마나 우리나라가 금융화되어 있는지 암울한데. 불평등한 현실을 감안 한다면 부의 독점은 금융부분에서도 매우 심할 터인데.... 금융은 하나의 산업으로 존재하기 보다 다른 산업을 뒷받침하는 생산적 금융으로써 역할을 해야한다. 산업자본주의 지대추구자 배만 불리는 경제금융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극심한 불평등한 사회에 살아갈 수 밖에... 이 땅의 청년이 각자도생하고 생존의 어려움을 겪는 근본적인 이유중 가장 큰 것이 이 금융자본주의에 있다는 것을 더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야 한다. 특히 청년들에게... 2023. 9. 27.
워싱턴 합의(Washington consensus) 워싱턴 합의(Washington consensus)는 미국과 국제금융자본이 미국식 시장경제체제를 개발도상국 발전모델로 삼도록 하자고 한 합의를 말한다 냉전시대 붕괴 이후 미 행정부와 국제통화기금, 세계은행 등 워싱턴의 정책 결정자들 사이에서는 '위기에 처한 국가' 또는 '체제 이행 중인 국가'에 대해 미국식 시장경제를 이식시키자는 모종의 합의가 이뤄졌다. 미국의 정치 경제학자 존 윌리엄슨은 1989년 자신의 글에서 이를 'Washington consensus'라고 불렀다. 사유재산권 보호 / 재산권에 대한 법적 담보(=소유권 확립) 정부규제 축소 / 규제 완화 국가 기간산업 민영화 / 국영기업의 민영화 외국자본에 대한 제한 철폐 / 대내외 직접투자의 자유화 무역 자유화와 시장 개방 / 무역의 자유화(=자.. 2023. 9. 27.
[참고자료]해밀턴 프로젝트 보고서 , 브르킹스연구소 https://www.kdi.re.kr/research/reportView?&pub_no=9696 해밀턴 프로젝트: 기회와 번영, 성장을 위한 경제전략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 보고서 [ 요 약 ] □ 교육과 근면한 노동이 개인들에게 발전의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모든세대가 이전세대보다 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은 미국 사회의 보편적인 믿음이다. 그러나 www.kdi.re.kr [ 요 약 ] 출처 : kdi 연구원 □ 교육과 근면한 노동이 개인들에게 발전의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모든세대가 이전세대보다 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은 미국 사회의 보편적인 믿음이다. 그러나 현재 미국은 미래를 위한 재원을 마련하고 있지 못할 뿐 아니라 미래를 위한 적절한 투.. 2023. 6. 27.
[세미나]에덤투즈 『붕괴』 읽기 - 1차 붕괴 - 금융위기 10년, 세계는 어떻게 바뀌었는가 현대 자본주의 체제와 글로벌 경제의 한복판에서 벌어진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0년 역사를 다룬다. 저자인 컬럼비아대학교 애덤 투즈(Adam Tooze) 교수는 경제사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학자로서 위기의 진앙인 미국과 유럽은 물론 중국과 러시아, 신흥시장국가에 이르기까지 전 지구적 규모로 확산하는 금융위기의 진행 상황을 치밀하게 그려내는 한편, 위기 대응의 과정과 방법도 꼼꼼하게 진단함으로써 세계의 경제와 정치가 긴밀히 얽힌 오늘의 세계를 분명히 알려준다. 또한 『붕괴』는 조지아와 우크라이나 위기, 브렉시트 국민투표, 트럼프의 당선에 이르기까지 최근 10년의 세계사적 사건들을 금융위기와의 관련 속에서 유려하게 풀어쓴 “경제 대서사시”다. 경제.. 2023. 6. 27.
청년과 금융불평등, 한영섭 소장, 우분투재단 토론회 청년청년과 금융불평등 한영섭 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 소장 청년의 부채문제, 불평등 문제는 한국사회에서 거론 된지 꾀 오래되었다. 최근 주택문제, 코로나 등 원인으로 더 심화되고 있다. 청년 금융문제를 이야기할 때 영끌(영혼까지-), 빚투(빚내서투자), 가상자산 투자 등 문제로 청년개인의 왜곡된 의사결정 문제로 인식하기도 한다. 그러나 청년계층의 금융문제의 본질은 청년개인의 잘못된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이 선택을 강제하는 사회구조의 원인에 있음을 분명히 하면서 토론에 들어가고자 한다. 1. 현황과 문제 1-1 청년부채 현황 통계청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의하면 2022년 말 가구주 평균 9,170만원의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4.2% 증가된 것인데, 29세 이하 청년.. 2023. 6. 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