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과거 정보 445

[참고자료]해밀턴 프로젝트 보고서 , 브르킹스연구소

https://www.kdi.re.kr/research/reportView?&pub_no=9696 해밀턴 프로젝트: 기회와 번영, 성장을 위한 경제전략 - KDI 한국개발연구원 - 연구 - 보고서 [ 요 약 ] □ 교육과 근면한 노동이 개인들에게 발전의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모든세대가 이전세대보다 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은 미국 사회의 보편적인 믿음이다. 그러나 www.kdi.re.kr [ 요 약 ] 출처 : kdi 연구원 □ 교육과 근면한 노동이 개인들에게 발전의 기회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모든세대가 이전세대보다 더 나은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은 미국 사회의 보편적인 믿음이다. 그러나 현재 미국은 미래를 위한 재원을 마련하고 있지 못할 뿐 아니라 미래를 위한 적절한 투..

[세미나]에덤투즈 『붕괴』 읽기 - 1차

붕괴 - 금융위기 10년, 세계는 어떻게 바뀌었는가 현대 자본주의 체제와 글로벌 경제의 한복판에서 벌어진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0년 역사를 다룬다. 저자인 컬럼비아대학교 애덤 투즈(Adam Tooze) 교수는 경제사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학자로서 위기의 진앙인 미국과 유럽은 물론 중국과 러시아, 신흥시장국가에 이르기까지 전 지구적 규모로 확산하는 금융위기의 진행 상황을 치밀하게 그려내는 한편, 위기 대응의 과정과 방법도 꼼꼼하게 진단함으로써 세계의 경제와 정치가 긴밀히 얽힌 오늘의 세계를 분명히 알려준다. 또한 『붕괴』는 조지아와 우크라이나 위기, 브렉시트 국민투표, 트럼프의 당선에 이르기까지 최근 10년의 세계사적 사건들을 금융위기와의 관련 속에서 유려하게 풀어쓴 “경제 대서사시”다. 경제..

청년과 금융불평등, 한영섭 소장, 우분투재단 토론회

청년청년과 금융불평등 한영섭 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 소장 청년의 부채문제, 불평등 문제는 한국사회에서 거론 된지 꾀 오래되었다. 최근 주택문제, 코로나 등 원인으로 더 심화되고 있다. 청년 금융문제를 이야기할 때 영끌(영혼까지-), 빚투(빚내서투자), 가상자산 투자 등 문제로 청년개인의 왜곡된 의사결정 문제로 인식하기도 한다. 그러나 청년계층의 금융문제의 본질은 청년개인의 잘못된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이 선택을 강제하는 사회구조의 원인에 있음을 분명히 하면서 토론에 들어가고자 한다. 1. 현황과 문제 1-1 청년부채 현황 통계청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의하면 2022년 말 가구주 평균 9,170만원의 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4.2% 증가된 것인데, 29세 이하 청년..

에코사이드와 사회적법정(지구법정), 자기조정 시장(제도)을 세우자

에코사이드,생태학살 에코사이드(Ecocide)란, 환경(Eco)과 집단학살(genocide)의 합성어로 생태계에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악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의미한다. 출처 : 뉴스펭귄(https://www.newspenguin.com) 환경을 파괴하는 행위에 대한 처벌을 하자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무엇을 생태파괴로 볼 것 인지, 누구를 처벌 할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영역이다. 이 논의는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 지구공동체라는 인식 속에서 범죄행위에 대한 처벌이 가능해진다. 현재 논의 되고 있는 수준은 어떤 사건에 대한 기업 또는 개인의 책임 국제적으로는 한 국가의 책임을 묻는 행위로 바라보고 있다. 그러나 논의를 더 확장시켜보자면 에코사이드가 일어나는 근본적인 원인과 책임에 대해 묻는 과정이 필요하..

(무료)부채신용 전화상담을 시작합니다. <빚에서 빛으로 프로젝트>

학자금대출, 신용카드, 대부업체, 저축은행, 사채, 파산, 회생, 채무조정 등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부채 때문에 걱정이 많다면 연락을 주세요! 금융피해, 금융사기, 대출사기, 작업대출 등 부채 때문에 괴롭다면 함께 해결 방법을 찾아보겠습니다. * 이런분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1. 정부 서민금융, 채무조정 등 대출 및 금융지원 제도정보를 알고 싶은 분 2. 현재 빚이 감당이 되지 않아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는 분 3. 개인회생 및 파산을 해야할지 막막하신 분 4. 어디서 빚 문제를 이야기할 곳이 없어 답답하신 분 5. 채무독촉을 받고 있는데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싶은 분 * 주의사항 1. 본 단체는 금융상품, 대출 등 알선(중개)을 하지 않습니다. - 대출이 가능한지 찾아드리지는 못합니다...

학자금부채 사회적감사 보고회

4) 경제분야, 한영섭 (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 (1) 청년층의 자산격차 심화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2022년 말 기준 전체 가구주의 순자산 보유액은 평균 45,602만 원으로 전년 대비 10%가량 증가를 했다. 그러나 29세 이하 가구주의 경우 평균 8,483만 원으로 유일하게 감소를 했다. 반면 가장 많이 증가된 연령의 경우 50대 가구주로 전년대비 약 14.6%, 약 6,807만 원이 증가되어 세대 간의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이는 같은 통계 가구주 종사상지위별 순자산 보유액도 상용근로자가 전년대비 약 8.7% 4,045만 원 증가되었지만 임시일용근로자의 경우 6.5% 1,270만 원만 증가되어 계층 간의 자산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가구주의 입주형태에 따른 분석에..

학교 밖, 가정 밖, 보호체계 밖 청소년 금융정책 제안문

2023년 2월 23일, 보호 체계 밖 청소년 생활 실태 연구 토론회 (23.02.23), 토론문, 한영섭 보호 체계 밖 청소년을 위한 다층적 금융·통신정책 제안 한영섭 (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 금번 연구에서 제안한 기초통신비 지원, 기본 폰 지급, 통신망, 수신차단 금지 등 긴급복지지원에 매우 동의하고, 추가적으로 금융과 통신 분야에 대해 제언을 드리고자 한다. 1. 문제의식 1) 보호 체계 밖 청소년 생활 실태 현황 분석 연구에서 조사된 결과로 65.3% (17명)가 부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1인당 평균 7,241,176원 (2,500만 원에서 100만 원 사이 분포)으로 나타나 있다. 이는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보호 체계 밖 청소년에게는 매우 큰 금액이며, 또..

한겨레, 저당잡힌 미래 ‘청년의 빚’

한겨레 기획기사 담당했던 기자가 고민이 많았었는데. 몇 번의 통화, 한 차례 대면 인터뷰 기사화 되었네요. 연속기사입니다. 시간을 내서 읽어 보면 좋겠습니다. 저당잡힌 미래 ‘청년의 빚’ https://www.hani.co.kr/arti/SERIES/1770/ 200만원 벌어 절반 넘게 갚는데도…‘빚의 족쇄’ 찬 청년들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58337.html 가파르게 늘어나는 청년 빚, ‘도덕적 해이’ 탓하지만…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58332.html 학자금부터 전세자금까지…청년이 빚지게 만드는 사회 https://www.hani.co.kr/arti/s..

부채는 왜 사회문제인가 - 인도의 농민 자살 사건

https://yoda.wiki/wiki/Farmers'_suicides_in_India 인도의 농민 자살 사건 - 요다위키 인도의 농민 자살 사건 Farmers' suicides in India 인도 농민 자살은 1970년대 이후 농민들이 주로 개인 지주나 은행에서 대출받은 돈을 갚지 못해 스스로 목숨을 끊는 국가적 대재앙을 말한다. 인도 국 yoda.wiki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siapacific/125872.html 10. 인도 목화농민들 ‘자살’ 전염병처럼 돈다 [인도기행] 농가부채 해결 못해…지난해 농민자살 ‘최악’ www.hani.co.kr 비다르바에선 목화 농민들의 자살이 유행병처럼 번져가고 있다. 이 지역 농민지원단체인 ‘비다르바민중..

한영섭 소장, 부채운동 관련 추천 서적

1. 부당한 빚 정당한 빚, Ilsup Ahn, 노동래(옮긴이), 새물결플러스 자본주의 사회의 부채 윤리를 뛰어 넘을 수 있는 새로운 부채 윤리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2. 부채, 첫 5,000년의 역사, 데이비드 그레이버, 정명진(옮긴이), 부글북스 화폐, 부채, 자본주의 역사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3. 우리는 왜 공부할수록 가난해지는가, 천주희, 사이행성 한국의 학자금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룬 책으로 대학생, 대학원생의 입장에서 잘 서술된 책입니다. 4. 신자유주의 금융화와 문화정치경제, 강내희, 문화과학사 신자유주의 기조에 따른 금융화를 섬세하게 풀어쓴 글입니다. 금융화에 따른 문화, 정치, 경제의 변동을 분석하고 대안 제시한 책으로 시간을 내어서 탐독하시길 권해드립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