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663

강의, 컨설팅, 연구 등 의뢰 소장 한영섭 전화번호 010 - 2670 - 3431 운영시간 10:00 ~ 18:00 블로그 http://economics21c.tistory.com E-Mail youngsuphan21c@gmail.com 주요사항 청년정책, 가계부채, 청년부채, 살림살이경제, 서민금융, 기후금융, 녹색금융, 대안금융 등 제도, 정책 연구 연구이력 - 한영섭, 청년금융복지상담 모형 개발 및 적용과 효과, 2014년, 서울연구원작은연구 - 한영섭 공저, 청년정책의 재구성 제안 기획연구 (생활안전망 분야), 2015년, 서울특별시 - 한영섭, 청년층 부채악성화 경로추적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2016년, 서울시 청년허브 - 한영섭, 이행기청년 금융지원 모형 개발 연구, 2017년,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 한영섭, 수원.. 2018. 1. 1.
[한영섭조장 인터뷰] 매일경제, 한영섭 소장, "청년들의 돈 문제, 사회가 함께 고민해야" "청년들의 돈 문제, 사회가 함께 고민해야"7세때 부친잃고 가세 기울자 돈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 금융교육에 소외된 청년들 파산·회생 상담하며 지원…"사람중심 금융교육 필요" 박윤예 기자입력 : 2017.12.31 17:47:41 수정 : 2017.12.31 17:48:07 ■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한영섭 센터장 "7세 때 아버지가 돌아가신 이후 돈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했습니다. 돈이라는 게 개인 문제라기보다 사회문제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청년들의 현명한 경제 생활을 돕기 위해 설립된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청지트)의 한영섭 센터장은 돈에 대해 할 말이 많다. 어릴 때부터 돈에 자유롭지 못했던 데다 청지트에서 청년들을 상대로 금융 상담을 하면서 돈에 얽힌 무수한 사연을 접했기 때문이다. 청지트는 청년연대은행.. 2018. 1. 1.
[한영섭소장 코멘트] [청년층에 무슨일이]청년가구 부채 3년새 60% '급증'…빚더미 올라 [청년층에 무슨일이]청년가구 부채 3년새 60% '급증'…빚더미 올라 심상찮은 청년부채 증가세…은행권 밀려 제2·3금융권으로 적은 소득 탓에 이자 한 번 밀리면 '빚 굴레' 빠질 우려 커 정부, 내년 초 청년 금융지원 강화 방안 마련 예정 【서울=뉴시스】조현아 기자 = 청년가구의 빚 증가세가 심상치않다. 불과 3년 전만 하더라도 가구당 1500만원 수준이던 빚이 지난해 2400만원 선까지 크게 불어났다. 사회 첫 발을 제대로 떼기도 전에 빚더미에 신음하는 청년들이 늘어난 것이다. 31일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2014년 이래 '30세 미만' 청년 가구주의 평균 부채는 904만원(61%)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가구의 부채는 2014년 1481만원.. 2017. 12. 31.
[한영섭소장 코멘트] [청년층에 무슨일이]청년들 왜 고달프나?…소득 적은데, 주거비 '허덕' [청년층에 무슨일이]청년들 왜 고달프나?…소득 적은데, 주거비 '허덕' 청년 부채 3년새 61% 늘었는데 소득은 3.8% 감소 청년 실업률은 '사상 최고'…주거비 부담에 '등골' 월세 내고, 교통비에 식비 빼면 저축할 돈도 없어 【서울=뉴시스】조현아 기자 = 서울의 한 대학을 다니는 A(26)씨는 지방에서 올라와 학교 근처에 방을 얻었다. 매달 55만원씩 월세를 내야 하는데 부모님에게 전부 손을 벌리기 어려운 상황이라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지만 생활비 충당이 빠듯하다. 한 달에 5~6만원씩 나오는 핸드폰 요금도 연체하기 일쑤다. A씨는 "내년부터 본격적인 취업 준비를 하게 되면 나갈 돈이 더 많을 텐데 정말 빚이라도 내야 하나 생각 중"이라고 토로했다. 대학 졸업 후 프리랜서로 디자인 일을 하며 취업을 준.. 2017. 12. 31.
[한영섭의 에코세대 경제학]묻지마 재테크 권하는 사회에서 살아남기 [한영섭의 에코세대 경제학]* 한영섭의 에코세대 경제학은 이코노믹리뷰(언론사) 전문가 칼럼에 기고되고 있습니다. 묻지마 재테크 권하는 사회에서 살아남기한영섭 소장(mywalletlab@gmail.com) 청년들의 ‘호주머니 돈’이 가상화폐, P2P투자로 쏠리고 있다는 기사들이 도배되고 있다. 누가 투자를 고민 하고 있을까? 정말 돈이 없는 청년들은 이것조차 하지 못하는 박탈감에 빠져 있을 것이고, 조금이라도 불리려고 판에 뛰어든 청년들은 어떻게 해야 하나 밤잠 설치고 있을 것이다.우리 사회가 청년에게 권하는 것이 있다. ‘재테크’ 당장 TV, 라디오를 봐라 하루에 재테크 이야기를 안 하는 프로그램을 볼 수 없다. 우리는 왜 재테크를 권하는 사회가 되었나. 그리고 이를 적극 수용하는 청년들은 어떻게 탄생되.. 2017. 12. 31.
<출강-강의록> 토닥 대출시스템 어떻게 설계 했나, 한영섭소장, 2017년 12월 8일 토닥 대출시스템 어떻게 설계 했나, 한영섭소장, 12월 8일 교육일시 : 2017년 12월 8일 19:30 ~ 21:00 (1시간30분)의뢰기관 : 청년연대은행 토닥교육장소 : 대방동 무중력지대교육대상 : 토닥 조합원강 사 : 한영섭센터장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내지갑연구소 소장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2017. 12. 11.
[토론문-한영섭]대구지역 청년부채 실태, 2017년 12월 1일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2017. 12. 3.
<출강> 내지갑 워크샵, 한영섭소장, 11월 29일 내지갑 워크샵, 한영섭소장, 11월 29일 교육일시 : 11월 29일 15:30 ~ 17:30 (2시간) 의뢰기관 : 서울광진지역자활센터 교육장소 : 광진주민연대 교육대상 : 자활센터 참여주민 강 사 : 한영섭센터장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내지갑연구소 소장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2017. 11. 29.
[발언-한영섭]사회적경제기본법, 2017년 11월 22일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한영섭소장안녕하세요. 저는 청년들의 금융, 부채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생활경제 상담과 교육, 연구를 진행하는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사회적협동조합’ 한영섭 센터장입니다.청년의 사회적문제는 어제 오늘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개선되지 않는 실업률과 높은 주거비, 비싼 등록금, 학자금대출을 비롯한 청년부채로, 청년들은 미래를 그릴 수 없습니다.또한 청년들의 안정적인 주거공간은 턱없이 부족하고, 활동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이 없고, 좋지 않은 노동환경에 노출되어 기계처럼 쓰여지고 버려짐니다.미래를 고민하고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시간이 없습니다. 인공지능을 비롯한 4차혁명이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교육은 과거로 회귀하고 있고, 단기적인 이익에 눈이 멀어버린 자본기업들에게 종속되어 있습니다.사.. 2017. 11. 29.
[토론문-한영섭]청년기본법 국회토론회, 2017년 11월 23일 청년의 현실에 조응하는 종합적 청년정책 제언-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하여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한영섭소장 발제문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미취업 청년’이 아닌 ‘일반 청년’을 독립적인 사회정책의 대상으로 보아야 하며, 고용정책을 넘어 종합적인 청년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적극 동의한다. 어쩌면 너무나 당연한 ‘권리’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왜 이렇게 철저히 ‘일’ 중심으로 정책이 펼쳐져 왔는지 놀라울 정도이다.1. 청년은 ‘일하는 기계’가 아니다. 47년 전 故전태일열사가 23세에 외쳤던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 노동자도 사람이다’라는 구호가 근 50년이 지난 지금,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아직도 유효하다는 현실이 너무나 참혹스럽다. 지금 우리는 다시 외쳐야 한다. ‘우리는 일하는 기계가 아니다‘라고! 보다 인.. 2017. 11.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