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청년금융11

새정부 1,826일 : 코로나 이후, 청년정책의 과제" <청년금융정책부문, 토론문, 한영섭>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새정부 1,826일 : 코로나 이후, 청년정책의 과제" 청년의 삶, 일상의 금융화를 넘어 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 소장 한영섭 1. 윤석열 당선자 공약 진단에 대한 추가 의견 2. 청년금융정책 발제(최유리 대표)에 대한 의견 3. 기조발제(이승윤 부위원장)에 대한 의견 4. 청년(금융,경제)정책을 위한 제언 1. 윤석열 당선자 금융 공약 분석 - 최유리 대표의 진단에 대체로 동의함 - 10년 만기로 1억 만들어 주겠다는 달콤한 유혹 - 정책 생산자가 청년의 현실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음. - 청년정책이 아니라 아동발달계좌 등으로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전면 재검토 필요함. - 앞서 기조발제에서도 언급된 것처럼 청년의 자산격차에 대한 문제를 진지하고 집중적으로 고민해야 함. .. 2022. 4. 4.
<출강> 서울강북지역자활센터, 연속강의, 5강 부채와 채무자인권 1. 강의주제 : 청년자활자립사업단 연속강의, 제 5 강 부채와 채무자인권 2. 목 표 : 채무자인권을 이해하고, 채무조정제도를 활용할 수 있다. 3. 의뢰기관 : 서울강북지역자활센터 4. 강의대상 : 지역자활센터 참여청년 5. 강 사 : 한영섭 소장 6. 일 시 : 2021년 2월 19일 (금) 2021. 2. 8.
연구보고서, 청년 생활금융 문제와 사회적금융을 통한 대안 연구 (한영섭, 김영재) 작년 연구했던 연구보고서 공유드립니다.매우 부족한 연구였지만, #씨앗재단 작은조사연구활동 지원으로 결실을 맺었습니다. 저는 박사도, 석사도, 학사도 아닙니다. 그럼에도 연구의 기회를 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연구 주제는 '청년 생활금융 문제와 사회적금융을 통한 대안 연구'입니다. 청년의 금융소외와 금융 일상화 문제를 다루었는데요. 금융소외 문제와 금융과잉 문제를 한 틀로 연구한다는 것이 역시나 매우 무리한 도전(?)이였습니다.아마 다시 보고서를 쓴다면...이런 무리수를 두지는 않겠지요..... 매우 부끄럽지만 그럼에도 건설적인 비판을 위해 공유드립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한번 읽어 보시고 건강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다시한번 #한국사회적경제씨앗재단 #세이프넷지원센터 #아이쿱협동조합연구소 감사드립니다. .. 2020. 2. 11.
정책제안 - 21대 총선, 청년금융분야 요구사항 2020. 1. 21.
빚 59조 짊어진 청년은 실신세대 … 100만원 꾸려다 5000만원 수렁에 청년들은 3포·5포·7포를 넘어 이젠 ‘1포 세대’로 수렴된다고 자조한다. 포기해야 하는 한 가지는 ‘이번 생’이다. 그들은 스스로를 ‘실신(실업+신용불량)세대’라 부른다. ‘청년 실업, 청년 빈곤, 청년 빚’에 발목 잡힌 그들의 현실을 빚댄 말이다. 특히 청년 빚은 가장 시급한 문제다. 청년 빚 59조원. 청년 5명 중 한 명은 대출 경험이 있고, 파산과 회생을 신청하는 청년들은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청년 빚은 몇몇 청년의 개인 문제를 넘어선 사회구조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젠 청년 빚을 사회 문제로 보고 사회가 함께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는 말이다. 청년을 빚쟁이로 내모는 이 시대를 탐구한다. [탐구 1] 청년들 어떻게 빚쟁이 되나 생활비·학자금 쪼들려 급전 찾아 휴대폰 여러 대 개통 ‘내구제 대출’.. 2018. 11. 18.
[강의록]한영섭, 청년부채 현실과 대안, 내지갑연구소, 2018년 7월 강의용 버전 [강의록]한영섭, 청년부채 현실과 대안, 내지갑연구소, 2018년 7월 강의용 버전 1강 왜 우리는 빚더미에 살아야 하나?2강 청년부채 해소 방안 찾기 -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 연구소에서 발간하는 모든 자료는 위 저작권을 따릅니다. 2018. 7. 10.
[정책]한영섭, 지방선거대응, 서울시, 청년 생활금융 & 부채 공약 제안, 2018년6월 -> 정책 세부내용 다운로드 (클릭) 2018. 6. 6.
[연구보고서 - PPT]청년부채 현실과 원인 그리고 해소방안(2018년 3월) 청년부채 현실과 원인 그리고 해소방안 (2018년 3월) 세부적인 사항은 자료를 다운받으시기 바랍니다. * 언론보도 등 자료사용 시 '한영섭, 내지갑연구소'로 출처 밝혀 주시기 바랍니다.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2018. 3. 8.
[한영섭소장 코멘트]이코노믹리뷰, '내구제' 대출로 본 구멍 뚫린 청년 대책 '내구제' 대출로 본 구멍 뚫린 청년 대책금융, 채무조정의 '사각지대'양인정 기자 | lawyang@econovill.com | 승인 2018.02.04 19:13:39트키우기폰트키우기메일보내기프린트하기페이스북트위터구글자신의 휴대폰으로 대출을 받는 20대 청년들이 늘면서 이들에 대한 통신 채무도 증가하고 있다. 사상 최대 청년실업률을 기록하면서 휴대폰 대출까지 받아야 하는 20대 청년들이 늘고 있지만 마땅한 대책을 찾기 어려운 것도 현실이다. 4일 청년의 금융문제와 재무설계 상담을 하는 '내지갑 연구소'에 따르면 휴대폰 대출에 대해 폐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 내구제 대출은 청년 실업, 청년 금융의 부재가 합쳐 생긴 원인이다. 출처=뉴시스 제공한영섭 소장은 내구제 대출에 대해 "이들에 대해 도움을.. 2018. 2. 4.
[금융위원회 - 2018년]청년 금융소비자 정책 󰊳 취약부문별 맞춤형 지원 강화 □ (청년‧대학생) 청년·대학생 금융지원 강화방안을 마련(’18.上)하여 생활·주거자금 부담을 경감하고, 군인 희망저축 등을 통해 재산형성 적극 지원 ㅇ 취업준비자금, 비주택(옥탑방·고시원 등) 주거자금 등 청년·대학생의 수요를 반영한 지원이 가능하도록 청년·대학생 소액금융 체계 개편* * 지원대상·한도를 확대하고, 재원부담을 경감하는 지원방식 도입 검토 ㅇ 장학재단 대출을 연체한 청년·대학생에 대한 채무조정 지원을 강화*하고 신용정보 관리를 개선하여 조속한 재기를 지원(교육부 협업) * (현행) 신복위 채무조정 신청시 협약금융회사의 추심은 중단되나, 장학재단은 예외 → (개선) 신복위에만 신청하더라도 장학재단도 연계하여 추심중단 및 채무조정 추진 ㅇ 향후 병사급여의 단계.. 2018. 1.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