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청년정책33

2018년 변경! 더 좋아진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하세요! 본 자료는 노용노동부 블로그와 홈페이지를 참조하였습니다. 2018년 더 업그레이드! 기업도 개인도 모두! 대상 확대!중소기업 취업한 청년이면 누구나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하세요! 더 알아보기, 신청하기 ->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클릭)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를 통해 참여 신청 -참여경로 폐지, 임금요건 완화 등 제도 참여의 문턱 낮추어 -부르기 편하고 알기 쉬운 사업 ‘별칭’은 1월말까지 공모, 노트북 등 경품 * 공모알아보기 -> http://economics21c.tistory.com/214 고용노동부(장관 김영주)는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를 통해 청년과 기업의 참여 신청을 받는다고 밝혔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정부와 기업의 기여를 통해 미취업 청년의 중소‧중견기업 취업촉진 및.. 2018. 1. 9.
[공모]고용노동부 청년내일채움공제 별칭(브랜드 네이밍)을 공모합니다. http://www.work.go.kr/youngtomorrow/ 본 자료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를 참조하였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의미를 보다 쉽고 친근하게 전달하고, 다른 사업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별칭(브랜드 네이밍)'을 공모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가 더 쉽고 더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별명을 지어주세요!! □ 공모 개요 ○ 공모기간 : 2018. 1. 9.(화) ~ 1. 31.(수) 18:00까지 ○ 공모대상 : 누구나 참여가 가능합니다. ○ 공모방식 : 응모양식을 작성하시어 이메일(goodjob7@korea.kr)로 접수해주세요. □ 당선되신분께는 소정의 상품이 제공됩니다. 챙년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채움공제 더 알아보기 -> (클릭)http://economics21c.tistory.com.. 2018. 1. 9.
[연구보고서]한영섭, 수원시 청년 생활금융 문제 해소방안 연구, 수원시, 2017년 [청년부채 연구보고서]한영섭, 수원시 청년 생활금융 문제 해소방안 연구, 수원시, 2017년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2018. 1. 8.
[연구보고서]한영섭, 이행기청년 금융지원 모형 개발 연구,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2017년 [연구]한영섭, 이행기청년 금융지원 모형 개발 연구, 서울시청년활동지원센터, 2017년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2018. 1. 6.
[연구보고서]한영섭, 청년층 부채악성화 경로추적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서울시 청년허브, 2015년 [연구보고서]한영섭, 청년층 부채악성화 경로추적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서울시 청년허브, 2015년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2018. 1. 6.
[공동연구보고서][신용 문제의 해결, 한영섭]신윤정외, 청년정책의 재구성 기획연구, 서울시 청년허브, 2015년 [공동연구보고서][신용 문제의 해결, 한영섭]신윤정외, 청년정책의 재구성 기획연구, 서울시 청년허브, 2015년 서울이 만드는 다음 세대의 여지, 청년이 만드는 다음 사회의 공공 연구 자료 다운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2018. 1. 6.
[정책제안]청년1번가, 청년부채 경감을 위한 ‘청년생활금융지원센터’ 설립 내지갑연구소장 - 청년1번가 정책제안 청년 1 번가는 정부가 청년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만든 소통체널입니다 청년부채 경감을 위한 ‘청년생활금융지원센터’ 설립 한** | 2017년 12월 29일 |0. 배경 : 청년은 생활 필수재(교육, 주거, 생계)를 부채로 충당하고 있음.1. 현상 : 청년 생활부채 증가와 악성화.2. 원인 : 경제적 불평등 발생 (저소득, 저신용, 고비용으로 구조적 생활경제 격차)3. 문제 : 경제적 불평등 구조화 -> 생활경제 격차발생 -> 심리적 무력감 -> 생활경제 역량이 떨어짐 -> 경제격차 가속화* 악순환 구조 발생 (채무‘늪’)4. 단기 해소방안 (1) : 청년생활금융지원센터– 역할 1 : 청년층 특화 생활경제금융 상담&교육– 역할 2 : 청년층 유연한 적정대출 (청년형 마.. 2018. 1. 2.
[한영섭소장 인터뷰]"청년들 기다려줄 수 있는, 사람 중심 정책 필요" "청년들 기다려줄 수 있는, 사람 중심 정책 필요"[청년단체가 바꾼다②] 한영섭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장 인터뷰15.07.05 16:31l최종 업데이트 15.07.05 16:31l편영은(seoulyouth2014)크게l작게l인쇄lURL줄이기스크랩397좋은기사 원고료주기공감4 댓글1청년이란 누구인가? 청년의 정의는 참 애매하다. 법적으로는 만 19세에서 만 34세 사이의 사람들을 청년이라고 정의한다. 이 연령층에 속하는 대학생이나, 장기 구직자, 저소득층 근로자 등이 일반적으로 청년정책이 가정하는 청년의 영역에 속한다. 하지만 정책대상으로서 청년을 정의할 때, 이들을 독립적인 주체로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들이 이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서 실질적으로 부모의 경제적 도움이 필요하므로 통상적으로 부모와 묶.. 2017. 10. 18.
<기사-인터뷰>[청년이 미래다] “부채에 짓눌린 청년들 고립감 커져” [청년이 미래다] “부채에 짓눌린 청년들 고립감 커져”한영섭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장입력 : 2016-03-23 19:38:06 수정 : 2016-03-24 15:38:13 “빚의 무력감에 지지 마세요.” 한영섭(사진)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장은 학자금과 생활비 등 각종 부채로 짓눌린 청년들의 고립을 가장 걱정했다. 한 센터장은 23일 서울 동작구 사회적경제지원센터에 자리 잡은 센터 사무실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대출을 갚기 위해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청년들을 조사한 결과 친구관계가 단절되고 고립감이 커지는 경향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친구들을 만나면 돈을 써야 할 것 같아 안 만나거나 피하기도 하고, 노동강도가 강해 친구를 못 만나기도 한다”며 “점점 ‘관계’에는 돈을 쓰지 않고 식음.. 2017. 10. 18.
<인터뷰>[청년빈곤 고착화 막자 한영섭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장] 자기 힘으로 해결 못하는 '빚의 늪' 빠져 [청년빈곤 고착화 막자 ①인터뷰 | 한영섭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장] 자기 힘으로 해결 못하는 '빚의 늪' 빠져일자리·주거 등 고민 … 가족간 가계부채 청년층에 전이 경제적 빈곤 외에 정서적 빈곤도 심각 … 고립감 커져 청년들 돈에 지지 않게 '경제적 자존감' 길러줘야2017-05-22 10:47:55 게재빈곤의 덫에 걸린 청년이 지고 있는 또 하나의 짐은 빚이다.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보면 빚이 있는 30세 미만 청년가구의 빚 중앙값은 2013년 852만원이었는데 3년 후인 2016년에는 2006만원으로 급격하게 늘어났다. 빈곤은 빚을, 빚은 빈곤을 부르는 악순환에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셈이다.한영섭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장 사진 이의종한영섭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센터장(37)은 2012년 이후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에.. 2017. 10. 1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