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한영섭148

[한영섭소장 코멘트] "청년부채는 청년문제 끝판왕... 학자금대출 파산신청 허하라" "청년부채는 청년문제 끝판왕... 학자금대출 파산신청 허하라" [현장]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금융소비자단체 연대회의 출범 공감0 댓글댓글달기▲ 가계부채 문제 해결 '금융소비자연대회의' 출범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금융소비자단체연대회의(금융소비자연대회의) 출범기자회견이 17일 오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금융정의연대, 민변, 빚쟁이유니온, 주빌리은행, 참여연대,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한국파산회생변호사회 7개 시민단체 회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권우성관련사진보기 1500조 원에 육박하는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해 참여연대, 금융정의연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등 시민사회단체가 약칭 '금융소비자 연대회의'를 출범했다. 가계부채 문제 해결을 위한 금융소비자단체 연대회의(아래 연대회의)는.. 2018. 7. 22.
[한영섭소장 코멘트][청춘파산 下] “악성 부채 근원 차단… 원활한 청년자금 공급 구조 만들어야” [출처] 이투데이 [청춘파산 下] “악성 부채 근원 차단… 원활한 청년자금 공급 구조 만들어야” [출처] 이투데이: http://www.etoday.co.kr/news/section/newsview.php?idxno=1641265#csidx68057150705e3c9afc91821e3a54a0d 낮은 신용 등급으로 제 1금융권에서 대출받기 힘든 청년은 저축은행이나 대부업체 손을 빌린다. 그러다가 ‘작업대출(가짜 서류를 만들어 사기 대출을 받는 것)’, ‘내구제대출(휴대폰, 노트북 등 기계를 팔아 현금화하는 것)’ 등 불법 금융으로 빠져들고, 감당할 수 없는 ‘나쁜 빚’이 쌓인다. 전문가들은 애초 ‘좋은 빚’을 만들고 한계상황에 닥친 청년이 이용할 수 있도록 워크아웃 제도와 개인회생절차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청년층.. 2018. 7. 22.
[토론문]한영섭, 청년연구자가 바라는 희망제작소의 역할, 희망제작소, 2018.7 희망제작소 희망모울 open 기념세미나 시민권력시대, 모든 시민이 연구자다. - 2018.7.12. 오후 2시 희마모울 [토론문]한영섭, 청년연구자가 바라는 희망제작소의 역할, 희망제작소, 2018.7 청년연구자가 바라는 희망제작소의 역할- 한영섭 내지갑연구소 - 모든 시민이 연구자가 되기 위해선 먼저 청년연구자의 삶을 되돌아보는 작업이 필요하고 주장한다.한국사회에서 청년연구자의 현실은 어떤가? 대학의 대학원생은 연구자인가 대학교수의 노예인가? 지금의 대학에서 대학원생은 아직 교수의 갑질을 받아내야 하는 존재인듯하다. 또한 학벌·학위 중심의 연구문화 속에서 좋은 시민-연구자는 나오기 어렵다.이러한 현실을 강화시키는 요인으로 ‘성차별’, ‘나이주의’, ‘학위·학벌주의’를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장벽을 그대.. 2018. 7. 12.
[강의록]한영섭, 청소년 금융환경변화와 금융교육의 필요이해, 2018.7, 강의용 [강의록]한영섭, 청소년 금융환경변화와 금융교육의 필요이해, 2018.7, 강의용 : 한국 YWCA 연합회, 씽크머니 특강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 연구소에서 발간하는 모든 자료는 위 저작권을 따릅니다. 2018. 7. 10.
[강의록]한영섭, 청년부채 현실과 대안, 내지갑연구소, 2018년 7월 강의용 버전 [강의록]한영섭, 청년부채 현실과 대안, 내지갑연구소, 2018년 7월 강의용 버전 1강 왜 우리는 빚더미에 살아야 하나?2강 청년부채 해소 방안 찾기 - 중앙정부, 지자체, 민간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 연구소에서 발간하는 모든 자료는 위 저작권을 따릅니다. 2018. 7. 10.
[강의]한영섭, 청(소)년 금융피해예방교육, 2018년 6월 버전 청(소)년 금융피해예방교육_2018년 6월 버전강의안 다운로드(클릭) 2018. 6. 23.
[정책]한영섭, 지방선거대응, 서울시, 청년 생활금융 & 부채 공약 제안, 2018년6월 -> 정책 세부내용 다운로드 (클릭) 2018. 6. 6.
한영섭, 내담자 중심주의 생활경제상담 분석진단처방 방법론, 내지갑연구소, 2018년 내지갑상담사 보수교육, 2018년 5월 ‘내담자 중심주의’ 생활경제상담 분석·진단·처방 방법론 한영섭 (내지갑연구소장) 0. 들어가기 기존 상담에서 분석과 진단, 처방이 상담사 별로 차이가 발생하여 상담의 내용이 다른 경우가 발생. (상담 기준 통합) 분석과 진단, 처방시 중심적인 기준이 불투명하여 상담사가 힘있게 상담할 수 없고, 상담사의 역량에 의존하게 만드는 한계. (상담 질적 보완)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담의 분석, 진단, 처방의 기준을 세우고, 어떤 상담사가 상담을 하더라도 가치와 철학을 일치하게 만들고, 기본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함. 1. ‘내담자 중심주의’ 생활경제상담 : 상담의 중심축 세우기 우리가 상담을 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내담자의 통장에 잔고를 늘려주는 일인가? 좋은 금융상품을.. 2018. 5. 29.
<출강안내>청년 생활부채 심각성과 대안, 대구청년빚쟁이네트워크, 5월 16일, 한영섭 연구소장 청년 생활부채 심각성과 대안, 대구청년빚쟁이네트워크, 5월 16일, 한영섭 연구소장 청년 생활부채의 심각성과 대안- 왜 '청년대안은행'이 필요한가 강사 : 내지갑연구소 한영섭소장 교육일시 : 2018년 5월 14일 의뢰기관 : 대구청년빚쟁이네트워크 교육대상 : 대구지역 청년활동가 교육목표- 청년 부채현실을 이해 한다.- 청년대안금융의 필요성을 안다.- 실천을 할 수 있는 동력을 얻는다. 2018. 5. 15.
강의PT : 청년 금융피해 예방교육 (2018년 5월 14일 버전) 강의PT : 청년 금융피해 예방교육(2018년 5월 14일 버전) #한영섭#청년부채 #내지갑연구소 2018. 5. 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