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한영섭148

[칼럼]한영섭, 강남 건물주의 욕망이 전 지구적인 기후위기를 만들었다 강남 건물주의 욕망이 전 지구적인 기후위기를 만들었다 - 우리의 무책임한 재테크가 지구를 파괴하고 있다. ‘여러분~ 부~자 되세요.’ 라는 TV광고 카피가 유행하던 시기가 있었다. 그 광고는 2002년 모 카드 회사의 광고였다. 당시 정부가 소비를 늘려 경기를 부흥하고자 신용카드 규제를 완화하였다. 신용카드 회사들은 규제완화에 힘입어 대규모 광고를 하였고, 거리에서도 대학생에게 신용카드 가입을 받는 등 무분별하게 신용카드 발급을 늘렸다. 그 결과 이듬해 일명 ‘카드대란’이란 이름으로 신용불량자가 급증하고, 신용카드 회사도 부도를 맞았다. 강산이 두 번 이상 변한 지금 어느새 카드대란이라는 사건은 우리의 머릿속에 잊혀지고, ‘부자 되세요’라는 말은 살아남아 우리의 흔한 덕담이 되었다. 부자 되기는 일상의 .. 2020. 2. 3.
스크랩, 기사, 탈석탄 금융, P4G 앞서 선언하자, 이종오 섭씨 1.5℃.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가 지구 파국을 막기 위해 제시한 마지노선이다. 지구 평균기온이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2100년까지 1.5℃ 이상 상승하면 전 인류가 심각한 위기에, 2℃ 이상 상승하면 돌이킬 수 없는 파국에 직면할 거라고 예측했다. 1.5℃도 이하로 지구 온도 상승폭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세계의 이산화탄소(CO₂) 배출량을 2030년까지 2010년 대비 45% 수준으로 줄이고, 2050년까지는 순 제로(net-zero) 배출, 즉 ‘탄소중립’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2018년 10월 채택한 ‘1.5도 특별보고서’를 통해서다. 2030년은 기후 과학자들이 제시한 티핑 포인트(tipping point)다. 11년 남았다. 기후변화(climate change)라는 .. 2020. 1. 21.
기사-스크랩, [Cover Story] 환경 무임승차 시대 끝.. 지구 기후변화 대응 ‘금융’ 솔루션 더할 때① [Cover Story] 환경 무임승차 시대 끝.. 지구 기후변화 대응 ‘금융’ 솔루션 더할 때①이제 숫자의 반격이 시작됐다. 기후변화에 대응해 세계 곳곳의 정부는 환경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비즈니스는 위기를 맞았고, 기회는 친환경 산업으로 옮겨가고 있다. 유럽의회는 2009년부터 재생에너지 사용을 권장하는 등 환경 규제를 단계적으로 강화했다. 온실가스 배출량 규제가 강화되면서 유럽의 알루미늄 생산 비용은 2002년부터 10년간 약 8% 증가했다. 알루미늄은 섭씨 960℃의 고열에서 제련해야 하기 때문에 전기료가 총 생산비용의 30%를 차지한다. 2007년 이후 유럽연합(EU) 내 24개 알루미늄 제련소 중 세계 1·2위를 다투던 EU 최대의 알루미늄 제련소를 포함해 11곳이 폐업했.. 2020. 1. 21.
정책제안 - 21대 총선, 청년금융분야 요구사항 2020. 1. 21.
한영섭, 그린뉴딜과 금융, 2020년 1월 18일 그린뉴딜과 금융의 역할, 2020년 1월 18일 청년신협추진위원회 #그린뉴딜 #금융 #기후금융 #녹색금융 #청년부채 #청년신협 #한영섭 2020. 1. 19.
명칭변경 : 내지갑연구소 - 세상을 바꾸는 금융연구소로 명칭 변경 공 지 사 항 기존 내지갑연구소는 '세상을 바꾸는 금융 연구소'로 명칭을 변경하였습니다. 2020년 1월 19일 연구소장 한영섭 #세바연 #한영섭 #청년부채 #가계부채 #서민금융 #금융정책 #금융제도#대안금융 #사회적금융 #그린금융 #녹색금융 #기후금융 2020. 1. 19.
토론문, ‘공정’으로 청년의 빈곤한 삶을 해결할 수 없다, 한영섭 본 발제문은 청년단체 긴급토론회에서 발제안 내용 중 일부입니다. ‘공정’으로 청년의 빈곤한 삶을 해결할 수 없다한영섭 ‘공정함’이라는 키워드가 이슈가 되고 있다. 이것이 촛불이후 한국 사회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 할 수 있을지 살펴보고,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1. 현상 조국사태와 최근 문재인 대통령의 시정연설, 정시확대 등 일련의 과정에서 핵심적인 키워드는 ‘공정’이다. 공정하지 못하다는 목소리에 청와대는 크게 반응을 하였고, 사회전반에 공정함을 강화하겠다고 했다.“모든 사람의 노력을 보장하는 ’공정한 사회‘를 추구하고 있습니다.경제뿐 아니라 사회교육문화 전반에서 공정이 새롭게 구축되어야 합니다.국민께서 가장 가슴 아파하는 것이 교육에서의 불공정입니다. 정시비중 상향을 포함한 입시제도 개편안도 마련.. 2019. 10. 30.
내지갑연구소, 한영섭 외, 한국 학자금부채 현황분석 보고서(2019년) 다운로드 책임연구원 : 한영섭보조연구원 : 조윤현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 연구소에서 발간하는 모든 자료는 위 저작권을 따릅니다.* 상업적으로는 이용하지 말아주세요!* 인용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2019. 7. 24.
2019년 상반기 서민금융연구원 민간 서민상담 활성화 방안 포럼 한영섭 패널 발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 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 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 연구소에서 발간하는 모든 자료는 위 저작권을 따릅니다. * 상업적으로는 이용하지 말아주세요! * 인용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2019. 7. 9.
한영섭(내지갑연구소 소장) - 개인파산 회생 현황 분석보고서, 2019년 6월 내지갑연구소는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살림살이 경제를 연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누르기, 댓글 달기, 공유하기 내지갑 생활경제금융 교육 의뢰하기(클릭) 더 좋은 연구를 원한다면 후원(클릭)하기 * 연구소에서 발간하는 모든 자료는 위 저작권을 따릅니다. * 상업적으로는 이용하지 말아주세요! * 인용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2019. 6. 2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