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거 정보

강의 : 소비자와 시장, 김난도 - 3강 소비문화의 형성과 소비의 기호적 성격

by 금융문해 2017. 3. 2.
728x90

3강 소비문화의 형성과 소비의 기호적 성격 : 어떻게 나이키는 승리의 상징이 되었는가?



강의구성

1) 소비가 지닌 기호성이란 무엇인가

   : 기호란 무엇인지, 또 기호가 소비에 어떻게 적용이 되는지에 대해 이해해보자


2) 광고에는 기호가 어떻게 포함되어 있는가

   : 실제 광고를 분석하여 소비의 기호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이해해보자.


3) 소비가 기호적 성격을 띠는 이유는 무엇인가


욕망을 형성하려면 = 신분 상징, 취향 표현, 캐릭터 반영 = 의미

"당신이 사는 곳이 당신을 말해 줍니다."

"당신이 먹는 것이 당신을 말해 줍니다."

 자동자구입시 "예쁜 디자인, 야성적 느낌," 의미 = 기호



1. 소비의 기호성

 1) 기호의 의미


ex)'나는 그녀에게 카페라떼를 주었다. 그리고 그녀는 사람을 받았다", "사랑한다면 카페라테처럼"

 사물의 의미 획득 과정의 학술적 표현, 현대사회는 기호의사회


 * 사물이 하나의 기호가 되었다.  기호적인 의미를 획득했다.

 = 현대사회는 기회의 사회


  - 기호의 의미 : 사물이 가지는 의미 체계

   * 기호학 : 기호의 관계를 통해 어떻게 의미가 생성되고 커뮤니케이션 되는지를 밝히는 학문

     가장 중요한 기호가 언어

     _퍼스 소쉬르, 레비-스토로스

     _장 보들리야르의 소비사회 분석 : 소비는 사물이 아닌 의미가 담긴 하나의 기호로써 작용한다.

     _바르트의 광고 분석 "광고의 메시지는 부유하는 기의들의 띠를 한곳에 정박시키는 역활을 한다."

       * 설득 커뮤니케이션 - '이 제품은 이런 의미가 있습니다.'


   * 기호 = 시니피앙(기표) + 시니피에(기의)

     기호 - 고양이(cat) + 그림 = 기호

     기호란 : 기의와 기표


     _외연적 의미(denotation) : 기표와 기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1차적 의미

        기표 + 기의 = 기호 / 외연 / 언어

     _내포적 의미(connotation) : 외연적 의미를 기표로 하는 2차적 의미

        기표 기의 = 기호 / 내포 / 신화




   * 롤랑 바르트의 확장

     1. 기표 2. 기의 3. 기호   = 언어차원 (1차적 의미작용)

     i기표 ii 기의 iii기호  = 신화차원 (2차적 의미작용)


   

2. 광고분석 사례

 1) Dios 광고의 분석사례

    심은하 Only Love 힌색 + 우아함고급스러움 청결, 순결 = 언어차원의 Dios 광고

    (DIOS + 여자의 행복 ) = 소비로 이루어지는 행복  -> 소비사회의 신화적 차원

 



3. 소비가 기호적 성격을 띠는 이유

   소비가 정체성 형성에 관여 + 소비욕망의 비충족성 극대화 = 물질주의적, 소비주의적 행복관의 확대 재생산


  * 명예, 성고, 지휘 명품차

  * 자동차는 의미부여 -> 정체성 관여

  * 소비욕망이 극대화되는 사회 -> 비충족성

  * 필요에 의한 소비 

    욕망에 의한 소비


    공급과잉 해결 -> 소비 진작 -> 소비가 의미체계로의 작동

    -> 의미체계 -> 물질 및 소비주의 행복과 확대 / 재생산 -> 시장 & 소비의 확대

    

 -> 물질, 소비 행복관이 진정한 행복인가?

  

 -> 소비물의 의미와 의미 작용에 대해 알아야 한다. 

 -> 객과적 , 비판적 시작이 필요. 소비물을 판단할때 의미할대 -> 합리적 소비로 가는 첫걸음...


  



※ 과정 정리 요약

   ▲ 기호학은 기호의 관게를 통해 어떻게 의미가 생성되고 커뮤니케이션되는지를 밝히는 학문이다. 기호학에서 기호(signe)의 의미하는 것과 의미되는 것의 결합이다.


   ▲ 기표와 기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1차적 의미는 외연적 의미이며, 외연적 의미를 기표로 하는 2차적 의미는 내포적 의미이다.


   ▲ 소비자 기호성을 가지게 되는 이유는 소비가 정체성 형성에 관여하기 때문이며, 또한 소비욕망의 비충족성이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 이러한 소비의 기호성은 물질주의적, 소비주의적 행복관의 확대 재생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읽을거리>

  1.  보드리야르 (이규현 역), 1992, 기호의 정치경제학 비판문학과지성사.

  2. 보드리야르 (배영달 역), 1999, 사물의 체계백의.

  3. 에노 (박인철 역), 2000, 기호학사한길사.

  4. 에코 (김광현 역), 2000, 기호개념과 역사열린책들.

  5. 김광현, 2000, 기호인가 기만인가열린책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