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674

나는 엄마가 힘들다, 사이토 다마키외 지음, 전경아 옮김, 책세상 (머리말)

나는 엄마가 힘들다- 사이토 다마키외, 전경아 옮김, 책세상 머리말제가 임상 현장에서 자주 통감하는 것이 모녀 관계의 특수성입니다.그것도 패턴이 일정하지 않습니다. 아주 억압적인 엄마 아래서 고통받는 딸이 있는가 하면 엄마와 지나치게 밀착된 나머지 벗어나고 싶어도 벗어나지 못해 갈등하는 딸도 있습니다. 겉으로는 얼핏 사이가 좋아 보여도 부지불식간에 수면 아래의 썩은 부분이 드러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론 부자 관계도 크게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만, ‘문제의 양상’은 훨씬 단순합니다. 저는 이러한 모녀 관계의 특수성에 주목하여 라는 책을 썼습니다. 물론 부모자식 관계에는 부자 관계도 있고 부녀 관계도 있고 모자 관계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중에서도 모녀 관계는 유독 이질적입니다. 최근에야 겨우 이루한 이질..

연구소장 활동, 시사브리핑 (SBS CNBC 백브리핑 시시각각 생활트렌드 (5월18일

​ ■ 경제와이드 백브리핑 시시각각 '생활 트렌드' - 한영섭 내지갑연구소 소장 올 하반기 예대율 규제 강화를 앞두고, 은행 예수금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덩달아 고금리 예금 상품도 봇물을 이루고 있는데요. 금융소비자가 주의할 점은 없는지 짚어보겠습니다. Q. 우선 이 예대율이란 게 무엇인지, 또 정부가 왜 예대율 규제를 예고하게 됐는지부터 봐야 할 것 같은데요. Q. 그러니까 결국 예대율 규제가 은행 간 예수금 조달 경쟁의 원인이 됐다, 이렇게 봐야 하는 거네요? Q. 특히 4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규모가 급속도로 증가하는 모양새인데요. 현재 상황, 정확히 어떻게 진단해 볼 수 있습니까? Q. 이처럼 은행 간 예금고객을 둘러싼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이례적인 현상도 발생하고 있다 하죠? Q. 하지만 일각에..

공지사항/활동 2018.05.18

연구핵심, 한영섭, 대학생 대출 현황과 의미, 내지갑연구소, 2018.5

대학생 대출 현황과 의미 -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대출을 중심으로 현상 - 한국장학재단 학자금대출(이자율 2.2%) 등록금 대출은 감소, 생활비 대출은 증가추세 * 서민금융 대학생 청년 햇살론 증가(이자율 5.4%) 원인 : 등록금 대출은 줄고 생활비 대출은 왜 늘고 있나 - 장학금 확대 등 반값등록금 정책 유효 - 대학생활에 필요한 비용이 높아짐 (주거, 생활, 자격취득 등) 대책, 해소방안 - 단기 한국장학재단 생활비 대출 규모 확대 (대출고도화, 적정대출) * 생활금융컨설팅 후 생활비 추가 대출 대학 내 생활금융상담소 설치 (돈 관리 습관, 생활경제 역량 강화, 금융피해 예방 등) 대학생활 비용감소 대학 무료 와이파이, 식당 무료, 대학교재 지원, 교통비 바우처, 주거 바우처 등 - 장기 장학금 확대..

연구요약 초안 : 한영섭, 가계신용으로 살펴본 공적금융, 사회적금융 현황과 의의, 내지갑연구소, 2018년

금융의 시장화 - 금융은 공적자산인가 사적자산인가 2010년 - 2017년 가계신용 증감을 통해 살펴보니. #금융의 시장화 공적금융의 기능은 약화되고 있고 대부업체를 중심으로 고금리 사적 금융회사가 폭팔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청년을 위한 금융공급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다. 청년에게는 약탈적인 금융이 다른 계층에 비해 많이 공급되어 과도한 금융비용으로 미래를 잠식당하고 있다. #청년을 위한 공적금융과 사회적금융 공급이 필요 청년을 위한 공적금융과 사회적금융의 필요성은 차고 넘친다.청년에게는 약탈적 금융이 아니라 제대로된 '진짜금융'이 필요하다. 한영섭, 가계신용으로 살펴본 공적금융, 사회적금융 현황과 의의, 내지갑연구소, 2018년

<출강안내>청년 생활부채 심각성과 대안, 대구청년빚쟁이네트워크, 5월 16일, 한영섭 연구소장

청년 생활부채 심각성과 대안, 대구청년빚쟁이네트워크, 5월 16일, 한영섭 연구소장 청년 생활부채의 심각성과 대안- 왜 '청년대안은행'이 필요한가 강사 : 내지갑연구소 한영섭소장 교육일시 : 2018년 5월 14일 의뢰기관 : 대구청년빚쟁이네트워크 교육대상 : 대구지역 청년활동가 교육목표- 청년 부채현실을 이해 한다.- 청년대안금융의 필요성을 안다.- 실천을 할 수 있는 동력을 얻는다.

공지사항/일정 2018.05.15

[언론소개]청년 안정을 위한 부채교육 실시, 2018년 5월14일

청년 안정을 위한 부채교육 실시Posted By: 이 월용 기자on: 5월 14, 2018In: 천안시, 충청남도 인쇄 Email14일 백석대 재학생 대상으로 ‘청년안정교육사업 부채교육’진행 천안시[충청뉴스Q]천안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는 14일 청년지갑트레이닝센터 사회적협동조합 부설 내지갑연구소 한영섭 소장을 초청해 백석대학교 3·4학년 40여명을 대상으로 ‘청년안정교육사업 부채교육’을 실시했다.청년안정교육은 점점 악화되는 청년 취업난으로 청년부채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부채에 대한 인식 확립 및 합리적인 금융생활을 통해 청년의 삶을 안정시키기 위한 사업이다.이날 교육은 △청년들이 돈에 대해 가져야 할 관점 △학자금·생활비 대출에 대한 설명과 사례 △몰라서 당하는 약탈적 금융에 대한 대비 △현 경제 현실 및 지..

공지사항/활동 2018.05.14

생활금융복지 정책의 방향성 1. 공적금융 (2편 금융복지 서비스, 3편 신용회복과 채무조정)

생활금융복지 정책의 방향성 1. 공적금융 (2편 금융복지 서비스, 3편 신용회복과 채무조정): 원활한 경제활동과 삶을 유지, 발전하기 위한 생활금융정책 1. 공적금융의 공급 현황1) 공정금융의 규모우리나라 전체 가계대출은 2017년말 기준 약1,370조원이중 공적금융(한국주택금융공사, 한국장학재단, 연금관리공당 등)은 약63조원으로 4.6%의 비중임. * 참고로 전체 가계대출에서 시중은행의 금융공급 비중은 2010년 54.4%에서 2017년 48.2%로 줄어들었음. 시중은행이 제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고,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 고금리 대출공급이 늘고있음.- 대부업체 등 기타금융은 157조원으로 15%. (2010년 51조원 6.5%)- 저축은행 21조원, 1.5% (2010년 8조, 1%) 방향- 공적금..

[좋은삶포럼5월]청년, 마음 '각자도생사회' 5월24일 신청하세요!

내지갑연구소 ‘청춘의 좋은 삶’ 생활경제 포럼 포럼취지매달 1회 회원과 비회원을 대상으로 청년의 좋은 삶을 위한 경제를 주제로 가벼운 포럼을 진행하려 합니다. 또한 연구소에서 그간 연구한 결과물을 발표하고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자리도 함께 가지도록 하겠습니다.포럼은 한영섭 내지갑연구소장을 중심으로 진행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외부 강사를 초대해서 이야기를 듣도록 하겠습니다.* 회원분들 중에 같이 들었으면 하는 이야기가 있다면 권유해주세요. ========================================================================================================= 청년, 마음 '각자도생사회' : 강사 한영섭 소장 5월 24일 목요일 저녁 7시..

공지사항 2018.05.08
728x90
반응형